국제

아이폰12 분해하니 한국 부품이 27%, 미국·일본 제쳤다
이세원 입력 2020. 11. 21. 10:57기사 도구 모음
미국 애플사의 최신 스마트폰 아이폰12를 구성하는 부품 중 한국 제품이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제품 구성비는 아이폰11보다 높아지면서 미국을 따라잡아 1위가 됐고 일본과의 격차를 더 벌렸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은 도쿄에 있는 모바일 기기 조사업체인 '포말하우트 테크노 솔루션'이 아이폰12를 분해한 결과를 토대로 부품을 가격 기준으로 분석해봤더니 한국 제품의 비중이 가장 컸다고 21일 보도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미국 애플사의 최신 스마트폰 아이폰12를 구성하는 부품 중 한국 제품이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제품 구성비는 아이폰11보다 높아지면서 미국을 따라잡아 1위가 됐고 일본과의 격차를 더 벌렸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은 도쿄에 있는 모바일 기기 조사업체인 '포말하우트 테크노 솔루션'이 아이폰12를 분해한 결과를 토대로 부품을 가격 기준으로 분석해봤더니 한국 제품의 비중이 가장 컸다고 2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포말하우트는 아이폰12의 원가를 373달러(약 41만6천641원)로 추정했는데 이 가운데 한국 부품의 가격 비율이 27.3%에 달했다.
미국 부품이 25.6%로 2위였고 이어 일본 13.2%, 대만 12.1%, 중국 4.7%의 순이었다.
작년 가을에 출시된 아이폰11과 비교하면 한국 부품의 가격 비율은 9.1% 포인트 상승했으며 미국 부품과 일본 부품의 비율은 각각 0.2% 포인트, 0.6% 포인트 하락했다.
아이폰12의 한국 의존도가 커진 것은 디스플레이의 영향이 컸다.
애플은 화상을 더욱 선명하게 보여주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올레드·OLED)을 아이폰12의 디스플레이로 결정하고 삼성전자 제품을 채택했다.
아이폰12에 사용된 삼성디스플레이의 올레드 가격은 70달러, 삼성전자가 공급한 플래시메모리 가격은 19.2달러로 각각 추정됐다.
이밖에 SK하이닉스가 납품한 D램 가격은 12.8달러 수준으로 분석됐다.
그간 애플에 주요 디스플레이를 납품했던 일본 업체 저팬디스플레이(JDI)는 스마트폰용 액정밖에 공급하지 못했고 아이폰12 시리즈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올레드 개발은 소니, 파나소닉 등 일본 기업이 앞섰으나 이후 투자 경쟁에서 쫓아가지 못해 한국 기업의 독무대가 됐다고 닛케이는 진단했다.
sewonlee@yna.co.kr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시신 옮기다 승강기 멈춰…유족 "정신적 피해 보상하라" | 연합뉴스
- 조정식 SBS 아나운서, 다음 달 결혼 | 연합뉴스
- "가슴 만져도 옷 안 벗기면 성폭력 아냐"…인도 법원 판결 논란 | 연합뉴스
- 박은석, '반려견 파양' 부인하다 사과…"잘못된 일 맞아"(종합) | 연합뉴스
- "집에 있던 돈 없어졌다" 신고했다가 5인 이상 모임 적발 | 연합뉴스
- "우린 중국산 아닌데…" 고래 싸움에 등 터진 과일은?[뉴스피처] | 연합뉴스
- 조수진, 고민정 '후궁' 비유 글 삭제하고 사과 | 연합뉴스
- 지인 아이디 도용해 임용시험 응시 취소한 20대…과거에도 해킹 | 연합뉴스
- '경이로운 소문' 조병규 "내 연기는 50점…인기 내 몫 아니야" | 연합뉴스
- "10만원 내면 끝?"…전광훈 목사 노마스크 과태료에 시민 '부글'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