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회의록으로 보는 3선개헌·유신헌법..정부 기록물 공개

김기훈 2020. 11. 22. 12: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69년 박정희 정부에 의해 추진된 6차 헌법개정(개헌)과 1972년에 진행된 7차 개헌 과정을 볼 수 있는 기록물 원본이 공개된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6·7차 개헌 과정을 담은 정부 기록물에 해설을 덧붙인 '국무회의록의 재발견' 콘텐츠를 이달 23일 국가기록원 홈페이지(www.archives.go.kr)를 통해 공개한다고 22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가기록원, 6·7차 개헌 과정 관련 기록물 홈페이지 게재
헌법개정 제의의 공고(제61회) 헌법 중 4개의 조항을 개정하는 내용으로, 제69조 3항의 '대통령은 1차에 한하여 중임할 수 있다'는 내용을 '대통령의 계속 재임은 3기에 한한다'로 수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로 인해 이 개헌안의 이름은 삼선개헌으로 명명됐다. [국가기록원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1969년 박정희 정부에 의해 추진된 6차 헌법개정(개헌)과 1972년에 진행된 7차 개헌 과정을 볼 수 있는 기록물 원본이 공개된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6·7차 개헌 과정을 담은 정부 기록물에 해설을 덧붙인 '국무회의록의 재발견' 콘텐츠를 이달 23일 국가기록원 홈페이지(www.archives.go.kr)를 통해 공개한다고 22일 밝혔다.

국가기록원은 2018년부터 국무회의록을 순차적으로 공개하고 있으며, 올해는 6·7차 개헌 과정을 재조명하기 위해 국무회의록·대통령 기록물 등 60건의 중요 기록물을 분석해 공개한다.

이른바 '3선 개헌'으로 알려진 1969년 6차 개헌 기록물에는 대통령의 연임을 3회까지 연장하기 위한 과정들이 담겨있다.

이번에 공개되는 기록물 중 '헌법 개정 제의의 공고(제61회)'는 당시 국무회의에 상정된 헌법 개정안으로서 개정 이유, 개정 골자, 개정안 등을 담고 있다.

이 기록물 원문에는 국회의원 정수 등의 규정에서 오탈자를 수기로 직접 수정해 의결한 흔적이 보인다고 기록원은 설명했다.

국회 소장 기록물 중에는 개헌안의 국회 논의 과정에서 야당이 대통령에게 발송한 '삼선개헌과 관련된 학원 비상사태의 정상화 촉구에 관한 질문서'와 정부에서 국회에 제출한 답변서도 공개됐다.

함께 공개되는 '제72회 국회 회의록'을 통해 6차 개헌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때 여당 의원들만이 새벽 시간에 국회 별관으로 이동해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것을 알 수 있다.

삼선개헌과 관련된 학원 비상사태의 정상화 촉구에 관한 질문서 1969년 9월 27일 야당은 국민투표에서 삼선개헌 반대 여론을 환기시키기 위해, 학생들에 대한 탄압에 항의하는 질의서를 박정희 대통령에게 발송했다. [국가기록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유신헌법'으로 불리는 1972년의 7차 개헌은 전국에 계엄이 선포된 상황에서 비상국무회의를 통해 제안됐고 국민투표를 거쳐 확정됐다.

7차 개헌은 대통령의 간접 선거, 대통령의 긴급조치권 보장, 대통령의 국회의원 3분의 1 추천권, 통일주체국민회의 설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번에 공개되는 기록물 중 '국가비상사태 선언에 즈음하여 국회의장에게 보내는 친서'는 정부가 1971년 12월 비상사태에 관한 법률을 국회에 송부하며 함께 보낸 대통령의 서한이다. 당시 대통령과 국회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자료라고 기록원은 설명했다.

'계엄선포에 관한 건(안)(제76회)'은 1972년 10월 17일 국무회의 안건으로 제목과 서식 등이 수기로 작성돼 있어 당시 상황이 급박하게 진행됐음을 알 수 있다.

또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한국적 민주주의'의 필요성을 주장한 특별담화문 원문도 공개된다.

이소연 국가기록원장은 "국무회의록을 비롯한 중요 기록물에 담긴 개헌 논의 과정을 재조명해 기록의 소중한 가치를 느껴 보고, 국가 기록물을 활용한 교육 및 연구가 더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국가비상사태 선언에 즈음하여 국회의장에게 보내는 친서 1971년 12월 6일 국가비상사태 선포 이후, 22일 정부는 비상사태에 관한 법률을 국회로 이송했고, 박정희 대통령은 국회에 법안을 보내며 국회의장에게 서한을 보내 반드시 법안을 통과시킬 것을 권고했다. [국가기록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kihun@yna.co.kr

☞ '조덕제 성추행' 피해 여배우, 언론사 손배소 일부 승소
☞ 사유리 '비혼 출산' 호응하는 여성들…"결혼 불평등 싫어"
☞ 말라리아·뎅기열·코로나 이어 독사에 살아남은 불굴의 英남성
☞ 사귀던 고교생 제자에 절도시킨 30대 기간제 교사 석방
☞ '후지산이 무너진다' 78세 송재익 캐스터의 마지막 중계
☞ 남친 죽기 13일 전 결혼 약속 지키고 아이도 낳았어요
☞ 내 난자 몇개 남았지…'언젠가' 낳겠다, 난자 냉동 급증
☞ 퇴근 후엔 '선생님'…29년차 공무원의 이중생활
☞ 관광 명소 '아치 절벽' 밤사이 영원히 사라졌다…왜?
☞ 투표조작으로 뒤바뀐 인생…연습생 눈물은 누가 보상하나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