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녹아내린 빙하에서 6000년 전 고대 유물 발견

권윤희 입력 2020. 11. 26. 15:16 수정 2020. 11. 26. 15: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후변화로 녹아내린 빙하에서 고대 유물이 쏟아졌다.

25일(현지시간) 노르웨이 인란데주 당국은 요툰헤이멘 산맥 빙하에서 6000년 전 화살대 등 고대 유물 수십 점이 발견됐다고 전했다.

인란데주 문화유산재단 관계자는 "만약 유물이 원래 있던 자리에서 그대로 얼었다면, 고고학자들은 해당 유물을 토대로 과거 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이 무엇을 했는지, 그 당시 빙하의 크기가 어느 정도였는지 등을 유추하는 데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아쉬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빙하가 녹으면서 드러난 바이킹 시대 화살 유물./사진=인란데주 빙하고고학프로그램
노르웨이 요툰헤이멘 산맥 랭폰 빙하에서 발굴된 기원전 4100년, 지금으로부터 6000년 전 신석기시대 화살대./사진=인란데주 빙하고고학프로그램

기후변화로 녹아내린 빙하에서 고대 유물이 쏟아졌다. 25일(현지시간) 노르웨이 인란데주 당국은 요툰헤이멘 산맥 빙하에서 6000년 전 화살대 등 고대 유물 수십 점이 발견됐다고 전했다.

인란데주 당국은 현지 고고학자들과 함께 최근 몇 년간 수도 오슬로에서 400㎞ 떨어진 요툰헤이멘 산맥 랭폰 빙하 탐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를 담은 논문에서 연구팀은 “세계 어느 빙하에서보다 더 많은 유물을 발견했다”고 자신했다.

지구온난화로 녹아내린 노르웨이 요툰헤이맨 산맥 랭폰 빙하는 20년 전 크기의 30%에도 못 미친다./사진=인란데주 빙하고고학프로그램
빙하가 녹아내리면서 2006년 한 등산가는 3300년 전 초기 청동기 시대 가죽제 신발 한 짝을 발견하기도 했다./사진=인란데주 빙하고고학프로그램

특히 68발의 화살과 5개의 화살촉은 신석기 시대부터 바이킹 시대까지를 아우르는 유물로, 원형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는 것도 여럿이었다. 점판암이나 뼈, 석영, 홍합 껍데기로 만든 석기시대 화살부터 철로 만든 철기시대 화살까지 다양한 시대상을 담고 있었다.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결과 가장 오래된 화살은 기원전 4100년, 지금으로부터 약 6000년 전 신석기 시대의 것이었으며, 가장 최근 유물은 14세기 바이킹 시대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애초 퇴적된 순서대로 드러나는 유물이 이 지역의 생활상을 차례로 보여줄 거라 기대했지만, 얼음이 얼었다 녹기를 반복하며 유물이 이리저리 휩쓸린 탓에 시대별 특징을 재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얼음이 녹으면서 규암으로 만든 4000년 전 화살촉도 드러났다./사진=인란데주 빙하고고학프로그램
얼음 속에 잠자고 있던 4000년 전 화살./사진=인란데주 빙하고고학프로그램

인란데주 문화유산재단 관계자는 “만약 유물이 원래 있던 자리에서 그대로 얼었다면, 고고학자들은 해당 유물을 토대로 과거 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이 무엇을 했는지, 그 당시 빙하의 크기가 어느 정도였는지 등을 유추하는 데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아쉬워했다.

2006년 한 등산가가 3300년 전 초기 청동기 시대 가죽제 신발 한 짝을 발견한 걸 계기로 본격적인 탐사에 돌입했다. 이후 24만㎡ 규모의 랭폰 빙하 탐사에서 연구팀은 화살 외에 다량의 순록 뼈와 뿔, 직물 등을 발견했다.

유물들은 녹았다 얼기를 반복하며 휜 흔적, 햇빛과 바람에 노출된 흔적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다만 14세기 바이킹 시대 화살은 보존 상태가 매우 뛰어났다. 관계자는 “바로 어제 쏜 것처럼 보였을 정도”라고 설명했다.

빙하가 녹은 후 드러난 순록 뿔./사진=인란데주 빙하고고학프로그램

또 순록 뼈와 뿔 300여 점이 발견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일대가 오랜 기간 순록 사냥터였을 거라는 추측을 내놨다.

인란데주 당국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빙하 퇴각이라는 전 세계적 현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화유산재단 관계자는 “지난 20년간 랭폰 빙하는 극적으로 후퇴했다. 20년 전 크기의 30%에도 못 미친다. 육안으로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을 정도”라고 덧붙였다.

인란데주 당국은 지난 4월에도 렌드브린 빙하에서 바이킹 시대 유물이 드러났다고 발표한 바 있다. 서기 300년~1000년 사이 유물은 빙하 위를 지나던 고대 바이킹들이 쓰고 버렸거나 잃어버린 물건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측했다. 당시에도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빙하 후퇴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