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조만대장경.. 조국이 제시한 '불법사찰' 기준 보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국 "민간인 대상이거나 도청·이메일수색 등 불법 수단 써야"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검찰의 판사 문건과 관련해 과거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SNS에서 설명한 '정당한 직무감찰과 불법사찰의 차이'가 다시 회자되고 있다.
그는 트위터에 "1. 정당한 직무감찰과 불법사찰의 차이가 뭐냐고? 첫째, 공직과 공무와 관련이 없는 민간인을 대상으로 삼는 것은 불법이다 2. 대상이 공직자나 공무관련자라고 하더라도 사용되는 감찰 방법이 불법이면 불법이다. 예컨대, 영장없는 도청, 이메일 수색, 편지 개봉, 예금계좌 뒤지기 등등"이라고 적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국 "민간인 대상이거나 도청·이메일수색 등 불법 수단 써야"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검찰의 판사 문건과 관련해 과거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SNS에서 설명한 ‘정당한 직무감찰과 불법사찰의 차이’가 다시 회자되고 있다. 검찰 주요 사건을 맡고 있는 재판부 판사의 △출신(고교·대학) △주요 판결 △세평 등 세 가지 항목을 담고 있는 이 문건에 대해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판사 사찰’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 이 문건 등을 들어 윤석열 검찰총장을 직무정지시키고 직권남용 혐의로 대검찰청에 수사의뢰했다.
다시 주목받고 있는 조 전 장관의 글은 2012년 4월 작성됐다. 그는 트위터에 "1. 정당한 직무감찰과 불법사찰의 차이가 뭐냐고? 첫째, 공직과 공무와 관련이 없는 민간인을 대상으로 삼는 것은 불법이다 2. 대상이 공직자나 공무관련자라고 하더라도 사용되는 감찰 방법이 불법이면 불법이다. 예컨대, 영장없는 도청, 이메일 수색, 편지 개봉, 예금계좌 뒤지기 등등"이라고 적었다.
조 전 장관이 제시한 기준에 따르면, 해당 판사 문건은 불법 사찰이 아니게 된다. 문건의 대상이 민간인이 아니고 도청 등 불법적인 감찰 방법이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문건에 적힌 정보는 판사 개인의 성향이나 이미 인터넷과 언론을 통해 알려진 내용들이다.
조 전 장관은 지난 24일 추 장관이 윤 총장에 대한 직무정지를 발표한 이후 페이스북에 ‘판사 사찰'에 대해 비판적인 논조를 보이는 기사와 SNS 게시물을 꾸준히 공유해 왔다. 27일 ‘(불법)사찰 > (불법)도청·미행·촬영 etc.’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판사 문건이 불법 사찰이며 중대한 문제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불법 사찰'이라는 조 전 장관의 주장과 정반대되는 내용의 과거 글이 발굴되면서 네티즌들은 ‘조적조(조국의 적은 조국)’ ‘조만대장경(조국+팔만대장경)’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도 페이스북에 조 전 장관의 트위터 글을 공유하면서 "조만대장경은 어두운 세상 속에서도 길을 잃지 않게 해주는 등대입니다"라며 "정권에서 자꾸 언론을 혼란시키는데, ‘사찰’의 정의는 이것입니다. 세계적인 법학자의 말이니 참고하세요"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작년 매출 35%를 한달만에 면목동에서 수주…대구 1위 건설사의 서울 틈새시장 공략 통했다
- [르포] 日 현지 편의점에 진열된 한국 화장품… 일상 파고든 K뷰티
- 韓 전투기 도입 검토하던 이집트, 中 J-10C 수입하나
- 300억짜리 회사가 1조 대어로… 스톤브릿지, 리브스메드 ‘대박’ 회수 눈앞
- 대선 후보까지 소환…의사·한의사 30년 싸움 점입가경
- 공공지원으로 속도 낸 성남 원도심 재개발…여기저기서 ‘잡음’
- [재테크 레시피] 月 10만원 저축하면 정부가 30만원 얹어주는 이 적금은
- [르포] 페라리·롤스로이스·마이바흐… 럭셔리카 몰리는 스페인 이비사
- 삼성전자, 2나노 엔비디아·퀄컴 수주 총력전… TSMC와 격차 좁힌다
- 마포·종로 국평도 ‘25억’… “서울서 ‘내 집 마련’ 한숨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