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C 6차 보고서, 각국 탄소감축 '숙제검사' 답안지

이근영 2020. 12. 11. 05: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협약 파리협정 채택 5년
1988년 출범 뒤 5차례 보고서 발간
유엔협약·교토의정서·파리협정 기반돼
2022년 11월께 나올 6차 보고서
"파리협정 이해점검 근거 자료 될 것"
제48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열린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2018년 10월8일 이회성 의장(가운데)이 ‘지구 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기상청 제공

기후변화와 관련한 국제협약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해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6차 보고서는 애초 일정보다 6개월 정도 늦춰진 2022년 11월께 완료될 전망이다.

기상청은 10일 “제53차 IPCC 총회가 케냐 나이로비에서 7일부터 14일까지 일정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애초 10월에 열릴 예정이던 이번 회의가 코로나19 영향으로 2개월 연기돼 영상회의로 열리듯이 6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AR6) 진행 일정도 몇 개월씩 늦춰지고 있다”고 밝혔다.

IPCC는 기후변화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1988년 설립한 국제기구이다. 1992년 유엔 기후변화협약이 IPCC의 1차 평가보고서(1990년)를, 1997년 교토의정서는 2차 보고서(1995년)를, 2015년 파리협정은 5차 보고서(2014년)를 토대로 성사됐다. IPCC의 보고서는 그동안 주요 기후변화 대응 국제협력의 근거로 활용됐다. 이런 공헌을 인정받아 2007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관련기사:기후변화, 문제는 돈…끝나지 않는 선진국 vs 개도국 책임 논란(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73772.html)신기후체제 열차, 운전지침 빈 칸 남긴 채 불안한 출발(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73760.html)파리협정 5년, 더워지는 지구 좁혀지지 않은 기후 목표(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73751.html)

코로나로 6차 보고 일정 반년 연기탄소감축 이행점검 판단 근거 마련

IPCC의 기후변화 평가보고서는 종합보고서와 3개의 그룹별 보고서로 이뤄진다. IPCC는 스스로 연구하는 기구가 아니라 연구를 평가하는 기능을 하며, IPCC 보고서는 권고나 의무사항이 아니라 정책 중립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과학적 근거’를 다루는 워킹그룹1 보고서는 애초 내년 4월에 예정됐던 승인 일정이 5개월 늦춰져 8월로 변경됐다. ‘적응·영향·취약성’을 다루는 워킹그룹2 보고서는 2022년 3월로, ‘완화(온실가스 감축)’를 담는 워킹그룹3 보고서는 내년 12월로 잡혔다. 원래 일정대로라면 2022년 5월에 승인될 예정이었던 종합보고서는 11월로 늦춰졌다.

변영화 국립기상과학원 미래기반연구부 연구관은 “5차 평가보고서가 파리협정의 2도 제한 목표 설정의 근거가 됐듯이, 6차 평가보고서는 2023년에 이뤄질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전 지구적 이행점검(NST)의 과학적 근거 자료로 제공될 것”이라고 말했다.

파리협정은 당사국들에게 5년마다 국가 감축목표(NDC·국가결정기여)를 수립해 이를 이행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들 정보를 취합해 5년마다 전 지구적 이행점검을 수행하고, 차기 국가 감축목표를 설정할 때 참조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전 지구적 이행점검을 할 때 투입 자료로 IPCC 최신 보고서를 사용하도록 명문화하고 있어, 파리협정 당사국들은 6차 보고서 내용을 반영해 2023년 제1차 전 지구적 이행점검의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

IPCC는 올해 코로나19 상황임에도 지난 2월 프랑스 파리에서 제52차 총회를 열어 보고서 작성 방향을 설정하는 6차 종합보고서 개요를 승인했다. 이준희 기상청 기후정책과 사무관은 “6차 보고서는 현재와 과거를 다루는 ‘현황과 추세’, 2100년 이후를 다루는 ‘장기’, 현재부터 2030년 또는 2050년까지 기간을 다루는 ‘단기’ 등 시간의 3단 구조로 기술되는 것이 특징”이라며 “이런 구조를 채택한 것은 기후변화에 대한 조기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CO₂ 농도 경로 강조한 5차와 달리사회경제적 환경 포함 실질성 높여

IPCC 6차 보고서는 또 대표농도경로(RCP)를 사용한 5차 보고서와 달리 공통사회경제경로(SSP)를 근간으로 작성된다. IPCC 보고서는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일종의 수학방정식인 컴퓨터 프로그램(예측모델)을 실행해 산출된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작성한다. 예측모델에는 자연 강제력(태양활동지수와 화산활동지수)과 인위적 강제력(온실가스, 에어로졸, 토지이용도) 등 5가지 요솟값이 입력자료로 쓰인다. 5차 보고서는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 정도에 따라 4가지 대표농도경로로 나누었다. 온실가스를 배출해 대기 중 농도가 어느 정도 남아 영향을 미칠지로 평가한 것이다. 가령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아무 노력을 하지 않을 경우인 RCP8.5는 2100년이 되면 대기 중 온실가스로 인해 추가되는 지구 흡수 태양 에너지양이 8.5W/㎡(태양에너지 전체의 3.8%)에 이른다는 것이다. 변영화 연구관은 “대기 중에 남아 있는 이산화탄소는 우리가 어떤 사회경제적 활동, 과학적 활동을 했는지에 따라 달라지기에 여기에 맞춘 시나리오를 작성하자는 의미에서 공통사회경제경로(SSP)라는 개념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가령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도 잘하고 감축도 잘해서 경제성장을 이뤘다 해도 그 사회가 석탄발전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지,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지에 따라 미래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6차 보고서는 5차 보고서의 RCP 개념과 함께 미래 사회경제 변화를 기준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미래의 완화와 적응 노력에 따라 SSP 시나리오들을 사용한다. 여기에는 인구통계, 경제발달, 복지, 생태계 요소, 자원, 제도, 기술발달, 사회적 인자, 정책 등이 고려된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 성장이 지속하는 시나리오(SSP1-2.6), 중도의 성장이 지속하는 시나리오(SSP2-4.5), 현 추세가 지속하는 시나리오(SSP3-7.0), 온실가스가 더 많은 배출이 지속하는 시나리오(SSP5-8.5) 등으로 분석된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