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 골밀도 높이는 '점프 운동' 아세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흔히 엉덩이관절이라 불리는 고관절은(넓적다리뼈와 골반을 잇는 관절) 나이 들수록 주의해야 하는 부위다.
고관절 골절 예방을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으로 뼈를 튼튼하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호핑 운동'이라고 부르는데, 실제 영국 러프버러대 연구팀이 55~70세 여성 35명에게 매일 하루 50번씩 호핑 운동을 하도록 지시한 결과, 6개월 후 참가자들의 엉덩이뼈 골밀도가 기존보다 최대 3.2% 증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흔히 엉덩이관절이라 불리는 고관절은(넓적다리뼈와 골반을 잇는 관절) 나이 들수록 주의해야 하는 부위다. 노화로 인해 뼈·근육이 약해지면 낙상으로 인한 골절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고관절이 골절되면 욕창, 폐렴, 심장질환의 악화 등 다양한 합병증 위험이 커지고 심하면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다. 고관절 골절 예방을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으로 뼈를 튼튼하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운동하면 뼈에 적절한 자극이 이뤄져 골밀도가 높아진다. 뼈를 만드는 골형성세포는 자극받는 만큼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체중부하가 되는 운동들은 모두 뼈에 자극을 주는데, 특히 줄넘기·배구·농구 같이 ‘점프 동작’이 활발한 운동이 좋다. 체력이 좋지 않거나 부상 위험이 있는 노년층은 제자리에서 하는 간단한 점프 운동으로도 골밀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한 발을 들고 나머지 한 발을 이용해 살짝 점프하면 된다. 이를 '호핑 운동'이라고 부르는데, 실제 영국 러프버러대 연구팀이 55~70세 여성 35명에게 매일 하루 50번씩 호핑 운동을 하도록 지시한 결과, 6개월 후 참가자들의 엉덩이뼈 골밀도가 기존보다 최대 3.2% 증가했다. 대상자들의 무릎을 MRI로 스캔했을 때, 호핑 운동은 관절에 손상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점프 운동이 어려운 몸 상태라면 '조금 빨리 걷기' 운동을 권한다. 빠르게 걷는 것만으로도 뼈를 자극할 수 있다. 햇빛을 받으며 걸으면 뼈 건강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D를 얻는 효과도 생긴다. 이외에 발뒤꿈치만 들었다 내리는 운동이나 스쿼트도 뼈 자극에 좋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집콕'하더라도 운동만은… 자전거·스쿼트·푸시업으로 면역력 '업'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
- 스쿼트, 무릎·허리 부담되면 누워서 하세요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오늘의 운동] 대사질환 예방하는 '책상 한 발 스쿼트'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힘콩의 푸쉬업&스쿼트 100 외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스쿼트 운동효과, 중장년 몸의 균형 맞추는 데 도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부상 위험 줄이는 '올바른 스쿼트 자세'는?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스쿼트 자세, 허리 곧게 펴야 부상 예방에 도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하체 단련' 스쿼트, 심한 관절염엔 피해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조류 인플루엔자의 ‘팬데믹 징후’ [따져봤다]
- “이 나이에 식단하면 다쳐”… 배두나, 마른 몸매 비결은 ‘이 운동’ 고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