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0만명당 확진자 수, OECD 37개국 중 36위로 낮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의 10만명당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두 번째로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20일 기준 대한민국의 10만명당 누적 확진자 수는 97.58명으로 OECD 37개 국가 중 36위다.
지난달 14일 기준으로는 10만명당 54.66명이었으나, 이후 3차 대유행으로 인해 누적 확진자 수가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182개국 중에서는 131위로 집계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한국의 10만명당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두 번째로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20일 기준 대한민국의 10만명당 누적 확진자 수는 97.58명으로 OECD 37개 국가 중 36위다. 34.15명으로 37위로 집계된 뉴질랜드에 이어 두번째로 누적 확진자 수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14일 기준으로는 10만명당 54.66명이었으나, 이후 3차 대유행으로 인해 누적 확진자 수가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당시 기준으로도 34.15명인 뉴질랜드에 이어 두 번째로 확진자 수가 적었다.
전 세계 국가들을 놓고 봤을 때는 19일 기준 누적 확진자 수가 총 182개국 중 131위로 집계됐다. 19일 기준으로 한국의 누적 확진자는 4만8579명으로 인구 10만명당 93.68명이 발생했다.
이는 인구 정보가 없는 북마케도니아·산마리노·모나코·안도라·리히텐슈타인·코소보 6개국 및 기타 영토는 순위에서 제외한 산정 기준이다.
3차 대유행이 시작되기 전인 11월14일 기준으로는 누적 확진자 수가 2만8338명으로 10만 명당 54.66명으로 집계된 바 있다. 당시에는 전 세계에서 총 179개국 기준 139위였다.
이날 방대본은 오후 브리핑 자료에서 국외 발생 현황을 공개하며, 한국의 누적 확진자 수는 5만591명으로 인구 10만명당 발생자 수가 97.58명이라고 밝혔다.
가장 누적 확진자 수가 많은 국가는 미국으로 1731만4834명으로 집계 됐으며, 인구 10만명당 5261.27명 꼴로 발생했다. 이어 1003만1223명의 확진자가 나온 인도, 716만2978명이 발생한 브라질 등이 뒤를 이었다.
☞공감언론 뉴시스 whynot82@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하원미 "100억 들여 지은 美 5500평 저택 시세 두 배 뛰어"
- 강남 "한국 귀화 3년 차, 민증은 일본 이름 '야스오'로 발급"
- 前축구선수 강지용 사망…축구계 애도 물결(종합)
- '부산 돌려차기' 피해자, 2차 가해자로부터 '협박 혐의' 피소
- 정지소 맞아?…소름 끼치는 얼굴
- '임신' 이하늬, 둘째 성별 스포했다 "예쁜 꼬까신"
- 불륜스캔들 日 배우와 열애설…김무준 "친한 동료"
- 신정환, 女연예인 성접대 폭로 "남자 3명 동시에 만났다"
- 싱글맘 오윤아, 16살 연하남에 대시 받았다 "방송 후 연락와"
- 최여진 "예비남편 돈 보고 결혼? 그랬으면 20대에 결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