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 결정 한 사람은 잠 오려나"..전국 스키장 뿔 난 이유

유승목 기자 2020. 12. 23. 11: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별방역 강화조치로 문 닫게 된 국내 스키장업계 불만 고조..업종 형평성 지적, 경영 타격 우려까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연말연시 코로나19 방역 강화 특별대책 추진방안에 따라 셧다운을 이틀 앞둔 22일 오후 강원 평창군 용평리조트 스키장이 썰렁한 모습이다. /사진=뉴시스

정부의 코로나19(COVID-19) 확산 방지를 위한 '연말연시 특별방역 강화조치'로 당장 오는 24일부터 열흘 가량 문을 닫게 된 스키장 업계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형평성에 맞지 않는 정책으로 스키 산업 전반이 고사위기에 처했다는 불만에서다.

앞서 정부는 지난 23일 사적 모임과 여행을 제한하기 위해 겨울철 감염 위험 시설로 지적된 전국 스키장 16곳에 대한 운영을 성탄절 연휴 시작인 12월24일부터 1월3일까지 금지키로 결정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스키장을 비롯한 겨울스포츠시설 운영을 전면 중단하고 연말연시에 인파가 많이 몰리는 주요 관광명소도 과감히 폐쇄하겠다"고 밝혔다.
"확진자 없는 스키장 닫고 백화점은 왜 여나"
/사진=스키장경영협회
정부의 갑작스러운 발표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던 주요 스키장들은 강한 불만을 내비쳤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취지에 공감하는 만큼, 정부 지침에 적극적으로 따르긴 하지만, 다른 고위험시설은 그대로 두고 스키장만 콕 집어 제한하는 것은 '핀셋 방역'이 아니라 두더지 잡기식 '망치 방역'이란 것이다.

한국스키장경영협회는 전날 '스키장 운영 중단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고 정부 정책에 이례적으로 강한 반감을 표했다. 1990년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단체인 한국스키장경영협회는 용평리조트·휘닉스평창·하이원리조트 등 전국 16개 스키장이 모인 단체로 이날 강원 횡성 웰리힐리파크 스키장에서 정부 조치를 규탄하는 궐기대회까지 계획했다.

협회는 "스키장은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는 실외 스포츠로 단위 면적당 밀집도도 어느 스포츠보다 낮다"며 "이를 반증하듯 전국 스키장에서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달 들어 평창군에서 발생한 감염도 외부시설 및 타 지역에서 시작된 감염이었는데도, 확산 원인을 스키장으로 돌려 마치 스키장이 감염원인 것 처럼 왜곡됐다는 것이다.

/사진=신달순 용평리조트 대표이사(스키장경영협회장) sns 캡처

또 코로나 방역조치가 모든 산업에 동등하게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직 스키장 실태 파악도 제대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 집합시설인 백화점이나 실내외 놀이동산, 테마파크는 예외로 두고 스키장 운영만 중단하는 것을 납득할 수 없다는 것이다. 협회는 "포괄적 중단조치는 매우 위험한 선택이 아닐 수 없다"며 "그럼에도 정부에서 이러한 조치를 내렸다면 감염정도가 비슷한 모든 산업을 중단해야 옳다"고 말했다.

협회장을 맡고 있는 신달순 용평리조트 대표이사도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 페이스북에 "스키장에서 확진자 감염은 한 명도 없었는데 위험하다며 문을 닫으란다"며 "'왜 스키장만?' 이라는 생각에 잠이 안 온다. 잘못된 결정을 한 사람은 잠이 오려나"라며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상의 없는 졸속 정책, 경영타격은 어쩌나
정부가 연말연시 코로나19 방역 강화 특별대책 추진방안에 따라 24일부터 스키장 운영을 일시 중단한다. 지난 22일 오후 셧다운 이틀을 앞 둔 강원 횡성 웰리힐리 파크 스키장이 썰렁한 모습이다. /사진=뉴시스
스키장업계가 그간 정부 정책기조에 발을 맞춰 왔단 점에서 이 같은 반발은 이례적이다. 한국스키장경영협회가 정부 방침에 대립각을 세운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스키장들이 이처럼 강하게 불만을 표하는 데는 경영 타격에 대한 우려와 상호교감이나 준비할 시간도 없이 갑작스러운 발표로 업계 전반에 혼란이 커졌다는 인식 때문이다. 정부 방침을 수용해 폐쇄 준비에 들어가면서도 공개적으로 성토하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주요 스키장업체들은 이번 발표를 앞두고 고객 서비스나 인력 운용 등의 문제에 대한 아무런 대비책이 없었다고 토로한다. 별 다른 매뉴얼이나 세부지침이 없이 당장 이틀 뒤부터 문을 닫으라는 발표만 나오며 현장에 혼란만 커졌다 것이다. 무엇보다 기존 리조트 예약이나 시즌권 고객들의 환불 문제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전날 발표 이후 각 스키장에는 홈쇼핑이나 온라인을 통해 구매했던 시즌권이나 리조트 객실의 환불 여부를 묻는 고객들의 전화가 빗발쳤지만, 현장에서 뚜렷한 대응을 하지 못했다. 한 대형 스키장 관계자는 "연말 최대 성수기인 시점에 열흘 가량 문을 닫는 것인데, 시즌권 구매한 고객들에 대한 보상이 가장 큰 문제"라며 "이에 대한 보상은 어떻게 할지 내부에서 대책 회의 중이나 뚜렷한 결론이 나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희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지난 21일 오후 경기 이천시 지산리조트 스키장을 찾아 관계자에게 방역 현황 관련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뉴시스

무엇보다 이번 조치로 인한 경영 타격에 대한 우려가 크다. 스키업계 관계자는 "이미 11월부터 슬로프에 인공설을 깔고 아르바이트 청년들을 고용하는 등 겨울 시즌 준비에 비용을 들였었다"며 "차라리 일찌감치 운영을 제한했다면 훨씬 나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키장경영협회도 "스키장은 스키장 종업원과 인근 자영업자 비정규 일용 근무자들이 삶을 영위하는 일터로 그 인원이 수 천여 명에 달하는데, 이번 조치는 서민들에게 고통을 전가하는 위기모면책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당국은 11일 문을 닫는 것으로 표현하지만 사실상 동계시즌 전체의 타격으로, 이런 상황이면 대기업도 버틸 수 없다"고 말했다.

코로나19 감염 위험시설로 지목되며 이어진 영업중단으로 국내 스키산업이 존폐기로에 놓였단 위기감도 커진다. 2008년 663만명을 기록한 국내 스키장 방문객 수가 매년 감소, 2018년에는 435만명까지 하락하는 등 업황이 가라앉은 시점에서 직격타가 될 수 있단 것이다. 스키장경영협회에 따르면 이미 올해 스키장 전반이 입장인원을 평년의 3분의 1 수준으로 운영해 스키장 매출액이 80% 가량 감소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스타벅스 라떼 한잔에 도넛 7개 분량의 설탕전지현 남편 펀드 수익률 1위 "올해만 120%…무슨 상품?"'55세' 김예령, 20대 못지 않은 몸매…"손주까지 둔 할머니"태국 후궁 나체 사진 1000장 유포, 무슨 일이?"암 걸려 시한부"…기부받아 결혼한 英신부, 다 거짓말
유승목 기자 mok@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