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0만이 나홀로 집에..5명중 2명 '1인가구'

박승철 2021. 1. 3. 17: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행안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1인세대 비중 39% 역대최대
가구당 평균가구원 2.2명 불과
국민 4명중 1명은 60대 이상
신생아수는 年30만명선 깨져
수도권 인구 2600만명 '과반'
지난해 말 기준 한국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감소한 가운데 1인 가구 비중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말 기준 전국의 1인 가구 수가 906만3362가구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900만가구를 넘어섰다. 전체 가구 가운데 1인 가구 비중도 39.2%로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1·2인 가구를 합한 비중도 전체 가구에서 62.6%를 차지했다. 2016년 56.5%였던 1·2인 가구 비중이 5년 사이에 6.1%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반면 4인 이상 가구 비율은 2016년 25.1%에서 지난해 20.0%로 떨어졌다. 1·2인 가구 증가 영향으로 전체 가구 수도 2309만3108가구로 처음으로 2300만가구를 넘어섰다.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도 2.24명으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행정안전부는 "전통적 가족 개념의 변화가 가구 변동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주거, 복지,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 정책 방향이 수정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인구 고령화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60대 이상이 전체에서 24.0%로 약 4분의 1을 차지한 가운데 20세 미만 인구 비중은 16.9%에 불과했다. 10년 전과 비교해 10대는 4.0%포인트 감소한 반면 60대 이상은 8.2%포인트 증가했다. 연령대별 인구수로는 50대가 864만5014명으로 16.7%를 차지하며 3년 연속 가장 큰 비중을 나타냈다. 이어 40대 16.0%, 30대 13.3%, 20대 13.1%, 60대 13.0%, 10대 9.2%, 10대 미만 7.7% 순으로 나타났다. 행안부는 "30·40대와 10대 이하 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데 비해 60대 이상은 전체 인구의 4분의 1로 증가했다는 점에서 향후 경제·고용정책의 시급한 변화와 노인 대상 복지·일자리에 대한 고민이 본격 요구된다"고 밝혔다.

수도권 인구 집중화 현상도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인구는 2603만8307명으로 전체 인구 중 50.2%를 차지했다. 2019년 말에 수도권 인구가 2592만5799명으로 50.002%를 차지한 것과 비교하면 인구수와 비중 모두 증가한 것이다. 특히 2019년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방자치단체는 17개 시도 가운데 경기도, 세종시, 제주도, 강원도, 충청북도 등 5곳뿐이다. 경기도 인구가 18만7348명 증가했고 세종(1만5256명), 제주(3646명), 강원(1338명), 충북(830명)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나머지 12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했으며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전북, 전남, 경북 등 8곳은 10년 전에 비해서도 인구가 줄었다.

시·군·구 가운데서는 경기도 화성시 인구가 3만9852명 증가했고 경기도 김포시(3만6749명), 경기도 시흥시(2만7213명) 등 60곳에서 인구가 늘어났다. 반면 경기도 광명시(1만7953명 감소) 등 166곳에서는 인구가 줄었다. 행안부 관계자는 "지역별 인구 증감에선 출생, 사망 등 자연 증감보다 전출입에 따른 사회적 증감이 크게 작용한다"면서 "일자리 감소와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기존 대도시에서의 인구 유출이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향후 출생자 수가 감소하고 사망자 수가 늘어나는 추세를 반전시키지 못하면 인구 감소 추세를 막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출생자는 27만5815명으로 전년보다 3만2882명(10.65%) 감소했다. 반면 작년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9269명(3.10%) 늘어난 30만7764명을 기록했다. 특히 연간 출생자 수는 2017년 40만명 아래로 떨어진 뒤 3년 만에 30만명 선도 무너져 저출산 문제가 갈수록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자 수는 2011년 25만8335명을 기록한 뒤 소폭 감소한 2019년을 제외하면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저출산 현상이 훨씬 빠른 속도로 다가오면서 정부 정책에 근본적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박승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