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 美의회에 한복 입고 섰다, 순자씨의 특별한 선서

워싱턴/김진명 특파원 2021. 1. 5. 03: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서울서 태어난 한국계 흑인 여성 스트리클런드 美하원 데뷔날
“내가 입은 한복, 다양성의 증거”
붉은 저고리와 짙은 푸른색 한복 치마를 입은 메릴린 스트리클런드(58·한국명 ‘순자’·가운데) 미 연방 하원의원이 3일(현지 시각) 워싱턴DC 연방의회 하원 본회의장에서 오른손을 들어 취임 선서를 하고 있다. 스트리클런드 의원은 주한 미군이었던 아버지 윌리씨와 한국인 어머니 김인민(91)씨 사이에서 1962년 서울에서 태어났고, 두 살 무렵 미국으로 이주했다. /메릴린 스트리클런드 트위터

3일 오후(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의 연방의회 하원 본회의장.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지난해 11월 3일 선거로 새롭게 뽑힌 의원들을 앞으로 불러 모았다. 이날 개원한 제117대 미 연방의회의 취임 선서를 하기 위해서였다. 초선 의원들 사이에선 붉은 저고리와 짙은 푸른색 한복 치마를 입은 여성이 눈에 띄었다. 한국계 미국인 여성으로는 처음 연방하원에 입성한 메릴린 스트리클런드(58·한국명 ‘순자’) 의원이었다. 미 연방 의회에서 ‘한복 취임 선서’는 처음이다.

메릴린 스트리클런드(가운데) 연방하원의원이 3일(현지 시각) 한복을 입고 취임선서를 하고 있다.

그는 1962년 주한미군이었던 아버지 윌리씨와 한국인 어머니 김인민(91)씨 사이에서 태어나 두 살 무렵 미국으로 이주했다. 2010년 한국계 최초, 흑인 여성 최초로 워싱턴주 터코마 시장이 됐고, 지난달 워싱턴주 제10선거구의 민주당 하원의원 후보로 출마해 당선됐다. 공화당 소속인 미셸 박 스틸(65·한국명 박은주), 영 김(58·한국명 김영옥) 의원과 함께 ‘최초의 한국계 미국인 여성 하원의원 3인방’이 된 것이다. 다만 이날 한복을 입고 취임 선서를 한 것은 스트리클런드뿐이었다.

한국계 여성 최초로 미 연방하원의원에 당선된 메릴린 스트리클런드(가운데 한복 입은 여성) 의원이 3일(현지 시각) 제117대 미국 의회 개원식에서 같은 민주당 소속으로 한국계 재선 의원인 앤디 김 의원과 팔꿈치를 부딪히는 인사를 하고 있다.

그는 이날 트위터에 “한복을 입는다는 건 개인적으로 깊은 의미가 있다”며 “한복은 내가 물려받은 문화적 유산을 상징하고 우리 어머니를 명예롭게 할 뿐만 아니라 미국, (워싱턴)주, 그리고 의회에서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라고 썼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