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그로 끌어야 돈 번다"..'억'소리 나는 유튜버 수익 [도넘은 유튜버]

2021. 1. 8. 11: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튜버들이 도를 넘는 자극적인 콘텐츠로 이른바 '어그로'(자극적이거나 악의적인 행동을 일컫는 신조어)를 끄는 이유는 결국 돈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출처가 불분명하고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정보를 이용해 자극적인 '국뽕'(지나친 자국문화 우월주의를 의미하는 신조어) 콘텐츠로 비난받고 있는 페페TV의 월 수익은 1억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성년자 이용 성적 콘텐츠, 月5000만원 이상 벌어
"시청자·제작자 자정 노력과 정부 규제에 기댈 수밖에"
미성년자를 이용해 성적인 콘텐츠를 제작해 물의를 빚었던 유튜브 채널 하이틴에이저 영상 장면. 이 채널은 월 5000만원 이상의 조회수 수익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이틴에이저 유튜브 캡쳐]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유튜버들이 도를 넘는 자극적인 콘텐츠로 이른바 ‘어그로’(자극적이거나 악의적인 행동을 일컫는 신조어)를 끄는 이유는 결국 돈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유튜브에서는 조회수가 곧 수익으로 직결되는 구조다. 이에 많은 유튜버가 경쟁하듯 자극적인 콘텐츠를 쏟아내고 있다.

7일 헤럴드경제는 유튜브 분석 사이트 녹스 인플루언서를 통해 어그로를 끌어 유명세를 탄 일부 유튜버의 수익을 알아봤다. 녹스 인플루언서는 유튜브 채널의 조회 수를 기반으로 월 평균 수익과 광고 단가를 추정한다.

미성년자를 이용해 성적인 콘텐츠를 제작해 물의를 일으킨 하이틴에이저는 월 평균 5878만원의 수익을 얻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광고 단가는 건당 2704만원이다. 이 채널의 구독자 수는 114만명에 이른다.

출처가 불분명하고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정보를 이용해 자극적인 ‘국뽕’(지나친 자국문화 우월주의를 의미하는 신조어) 콘텐츠로 비난받고 있는 페페TV의 월 수익은 1억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광고단가는 건당 2842만원에 달한다.

‘뒷광고’를 하고 이를 지적한 시청자를 기만해 논란이 된 유튜버 문복희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의 월 수익은 1억51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광고 수익 단가만 건당 6100만원이다. 문복희는 ‘먹방’을 운영하면서 음식을 몰래 뱉는 속임수를 썼다는 의혹까지 사고 있다.

‘먹방’을 운영하면서 음식을 몰래 뱉었다는 의혹과 함께 ‘뒷광고’·시청자 기만 논란까지 일으킨 유튜버 문복희의 유튜브 채널 영상. 이 채널은 월 1억5000만원이 넘는 수익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문복희 유튜브 캡쳐]

아울러 지난해 수억원의 ‘슈퍼챗’을 받은 채널은 대부분 정치 이슈를 자극적으로 다룬 채널인 것으로 집계됐다. 슈퍼챗이란 유튜브 조회 수나 광고 수익 외에 시청자가 지원하는 별도의 후원금을 말한다.

유튜브 분석 사이트 플레이보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유튜브 채널 중 가장 높은 후원금을 기록한 채널은 주로 정치 관련 이슈를 다루는 가로세로연구소로 7억2521만원의 수익을 거뒀다. 이는 전 세계에서도 다섯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3위는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담임목사가 운영하는 너알아TV로, 2억8166만원의 수익을 올렸다. 4위는 시사타파TV로 2억7958만원이며, 5위는 신의한수로 2억6184만원이다. 모두 정치 관련 채널이다. 2위인 ‘팔천사와강아지세상’(3억1948만원)만이 유기견과 관련된 채널이다.

일각에서는 자극적인 콘텐츠 생산을 유도하는 현재 유튜브의 수익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하지만 조회수·광고·후원 수익이 유튜브의 주 수입원인 만큼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측에서 이를 포기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구글의 지주회사인 알파벳에 따르면 유튜브 광고 매출은 지난해 151억4900만달러(약 18조원)로 2018년 111억550만달러(약 13조1200억 원)에 비해 36%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유튜브 비(非)광고 매출은 30억달러(약 3조5000억원)에 달한다.

결국 현재로서는 이용자와 콘텐츠 제작자의 자체적인 자정 노력과 함께 정부의 강력한 규제에 기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김중백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더욱 더 강한 자극이 아니면 더는 돈이 되지 않는 환경이 돼 버렸다”며 “정부가 나서서 규제의 사각에 놓인 유튜브 등 온라인 콘텐츠 영역에 제대로 된 규제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123@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