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영국, 中 위구르 강제노역 연관 기업에 500억원대 벌금 부과
황민규 기자 입력 2021. 01. 14. 08:44기사 도구 모음
영국이 중국 신장 지역 위구르족 인권 문제와 관련된 중국 제품 수입을 금지하고, 이를 어기는 기업에 벌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해당 문제와 관련됐다는 의혹이 있는 기업의 경우 직접 증거를 제시해야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3600만파운드(한화 538억원)에 달하는 벌금을 물어야 한다.
13일(현지 시각) CNBC에 따르면 도미닉 라브 영국 외무장관은 중국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 강제 노동으로 제조된 제품이 영국에 들어온다는 의혹과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영국이 중국 신장 지역 위구르족 인권 문제와 관련된 중국 제품 수입을 금지하고, 이를 어기는 기업에 벌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해당 문제와 관련됐다는 의혹이 있는 기업의 경우 직접 증거를 제시해야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3600만파운드(한화 538억원)에 달하는 벌금을 물어야 한다.
13일(현지 시각) CNBC에 따르면 도미닉 라브 영국 외무장관은 중국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 강제 노동으로 제조된 제품이 영국에 들어온다는 의혹과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라브 장관은 "국제사회의 주도국 중 하나인 중국이 오늘날 진실로 끔찍한 야만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고 비판했다.
라브 장관은 이어 "국제 공급망에서 신장의 위치로 인해 전 세계 기업이나 공공기관이 부주의에 따른 것이라도 강제 노동에 연루된 공급업체로부터 물품을 들여올 위험이 있다"며, 영국은 이와 관련한 어떤 제품도 들여오고 싶지 않다고 강조했다.
중국 위구르족 강제노역과 연관됐거나 의혹이 있는 기업들에 대한 구체적인 규제안도 마련했다. 해당 기업들은 실사와 검증 등을 통해 직접 증거 자료를 제출해 현대판 노예방지법과 무관하다는 것을 소명해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3600만파운드의 벌금을 내야한다.
앞서 유엔과 서방 국가들은 신장 지역 재교육 수용소에 수용된 위구르족 등 소수민족 이슬람교도 약 100만 명이 강제노동에 동원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신장 지역은 강제 노동을 통해 전 세계 면직물의 4분의 1가량을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주 영국 유통업체인 마크스 앤드 스펜서(M&S)는 신장 지역에서 생산된 면직물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선비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단독] “게이밍 노트북 맞아?” 성능 논란 삼성 갤럭시북 오디세이, 이름 바꿔 국내 판매
- 32㎝로 낮아진 獨 라인강에 유럽 화학업체 비상… 韓, 반사익 기대
- 법 하나로 美서 1000만원 뛴 아이오닉5…권성동 “한국차 협상 착수를”
- [인터뷰] 진대제 “1000억달러 반도체 패키징 시장 잡아야 산다…10년來 후공정 시대 열려”
- ‘불장’ 때 잠잠하던 군산 집값, 상승률 1위된 이유는
- ‘GD쿠션’으로 대박났던 코스온, 상장폐지 수순
- “9천억 재고폭탄에 나홀로 적자”...상장 발목잡은 롯데免
- 25년 안양교도소 이전 문제, 한동훈이 해결했다... “진영논리 배제, 오직 국익만 생각”
- [백윤미의 손품임장] 광교 대장주 7억 폭락에도… “호가는 실거래보다 높게”
- [비즈 사건파일]⑥ ‘침수차 사기’ 적발해도 형사 처벌 어려워… “보험 이력 꼼꼼히 살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