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내방가사 속 조선 여성의 삶..'여성, 한글로 소통하다' 발간
임동근 입력 2021. 01. 14. 09:29기사 도구 모음
국립한글박물관과 한국국학진흥원은 내방가사 연구서 '여성, 한글로 소통하다-내방가사 속 여성들의 이야기'를 공동으로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국립한글박물관 관계자는 "내방가사는 조선 시대 여성들의 삶을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기록유산이자 한글문화자원으로서 가치가 크고, 여성이 창작과 전승의 주체인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집단 여성문학"이라고 설명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국립한글박물관과 한국국학진흥원은 내방가사 연구서 '여성, 한글로 소통하다-내방가사 속 여성들의 이야기'를 공동으로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내방가사(內房歌辭)는 조선 중기 이후 주로 영남지방 여성들이 창작하고 향유한 가사 작품을 말한다.
이 연구서는 양 기관이 소장한 내방가사 자료를 중심으로 고전시가·서예·국어학 전공자들이 조선 후기부터 오늘날까지 불리고 있는 다양한 주제의 영남 지역 내방가사를 분석해 수록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영남 지역 종가에서 기탁한 내방가사 자료 약 330여건을, 국립한글박물관은 약 260여건을 소장하고 있으나 그동안 개별 소장품들이 연구된 적은 없다.
연구서에서는 내방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자기 인식, 현실 인식 등 여성들이 생각하고 고민해온 삶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또 내방가사에서 쓰인 한글 표기 및 어휘와 민체(民體)의 특성 등 한글의 언어·시각적 표기 체계도 함께 소개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이번 연구서를 토대로 올해 10월 내방가사를 주제로 한 기획특별전을 개최하고, 한국국학진흥원은 향후 내방가사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 데 기본 참고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국립한글박물관 관계자는 "내방가사는 조선 시대 여성들의 삶을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기록유산이자 한글문화자원으로서 가치가 크고, 여성이 창작과 전승의 주체인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집단 여성문학"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서는 전국 주요 도서관에서 열람할 수 있으며, 국립한글박물관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dklim@yna.co.kr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전인권, 조망권 시비로 옆집에 기왓장 투척…경찰 조사 | 연합뉴스
- 백신 맞은 74살 터미네이터의 한마디…"살고 싶다면 따라와라" | 연합뉴스
- 부동산 다운계약으로 '760억원 착복' 전 바티칸 은행장 징역 9년 | 연합뉴스
- 강원래 '방역 꼴등' 발언 사과…"심려 끼쳐 죄송" | 연합뉴스
- 이탈리아 항구에 떠밀려온 초대형 고래 사체…사인 조사 | 연합뉴스
- 바이든은 백악관 입주했는데…해리스 관저 이사는 나중에 | 연합뉴스
- 이방카 부부도 트럼프 따라 플로리다로…최고급 아파트 임차 | 연합뉴스
- 집에 간 트럼프, 굴욕 계속…거래 은행서 계좌 폐쇄 | 연합뉴스
- '말문 막히면?'…문대통령 회견 '조작·왜곡 사진' 무차별 확산 | 연합뉴스
- 어머니 49재에 웃으며 통화하는 아버지 찌른 40대 집행유예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