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콘텐츠산업, 작년 상반기 매출 1.9% 줄고 수출 4.8% 늘어
김준억 입력 2021. 01. 14. 10:24기사 도구 모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상반기 국내 콘텐츠산업의 매출이 감소하고 수출 증가세도 둔화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14일 발간한 '2020년 상반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57조3천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김준억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상반기 국내 콘텐츠산업의 매출이 감소하고 수출 증가세도 둔화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14일 발간한 '2020년 상반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57조3천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장르별 매출액 증감률을 보면 지식정보(12.1%)와 게임(11.9%), 만화(10.1%) 등 비대면 소비가 가능한 장르들은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반면, 영화(-54.2%), 광고(-18.7%). 애니메이션(-10.4%), 음악(-9.0%) 등 대면 소비 비중이 크거나 경기와 직결된 장르들은 큰 폭으로 줄었다.
아울러 같은 산업 내에서도 업종에 따라 매출 증감에 차이를 보였다. 출판의 경우 오프라인 서점 방문객은 감소했지만, 온라인 구매가 늘어 온라인과 오프라인 도서매출이 처음으로 역전됐다.
영화 역시 극장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0.6% 급감했지만, 제작배급업은 극장유통업 대비 매출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 수출액은 50억8천만 달러(약 5조6천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상반기 수출 증가율 6.4%보다 낮은 수치다.
수출 증가율 역시 만화(36.7%), 게임(10.0%), 지식정보(6.5%) 등 비대면 관련 장르들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게임은 36억8천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해 전체 콘텐츠산업 수출의 72.4%를 차지했으며 만화는 'K-웹툰'의 글로벌 진출 등에 따라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 보고서는 콘텐츠산업 11개 장르의 지난해 상반기 주요 동향을 분석했으며 사업체 2천500개사 대상 실태조사 결과와 131개 상장사 자료 분석을 통해 매출, 수출 등 주요 산업 규모를 추정했다.
justdust@yna.co.kr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강원래 "K팝 최고인데 방역은 꼴등"…安 "거리두기 주먹구구" | 연합뉴스
- 허경영 서울시장 출마…"결혼하면 1억원·연애수당 20만원" [영상] | 연합뉴스
- 편의점서 '285만원 골드바' 20개, 3시간 만에 완판 | 연합뉴스
- 밥 먹으라고 잠 깨운 아내에게 끓는 물 들어부은 터키 남편 | 연합뉴스
- 트럼프, 퇴임 3시간전 고별연설서 "어떤 식으로든 돌아오겠다"(종합) | 연합뉴스
- '4번째 음주운전' 채민서 2심도 집유…치상 무죄 | 연합뉴스
- 조태용 "김여정 '하명인사'에 강경화 무너져…위임통치 받나" | 연합뉴스
- 여성단체, 신지예 성폭행 사건 가해자 엄벌 촉구 | 연합뉴스
- "대리모 출산전 아이 버렸다"…유명배우 스캔들에 중국 '발칵'(종합) | 연합뉴스
- 김보름-노선영 첫 재판…"폭언에 고통"vs"반소 제기"(종합)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