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업은행, 디스커버리 피해자 입장차만 확인
신효령 입력 2021. 01. 14. 18:39 수정 2021. 01. 14. 23:22기사 도구 모음
IBK기업은행과 기업은행 디스커버리 사기피해대책위원회(대책위)의 간담회가 열렸으나, 서로의 입장 차만 확인하는데 그쳤다.
이에 대해 기업은행은 "디스커버리 판매사 최초로 지난해 6월 투자원금의 50%를 선가지급하는 등 투자자 피해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대책위가 사적화해 실무협상단 구성을 요청했으나 이미 법리검토 등을 통해 현실적으로 어려운 사안임을 감안, 부정적 의견을 전달했다. 금융감독원의 제재심과 분조위 절차가 진행 중이므로 이에 성실히 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뉴시스] 신효령 기자 = IBK기업은행과 기업은행 디스커버리 사기피해대책위원회(대책위)의 간담회가 열렸으나, 서로의 입장 차만 확인하는데 그쳤다.
14일 기업은행에 따르면, 김성태 전무·임찬희 부행장 등 은행 측 관계자 5명은 이날 오후 서울 을지로 IBK파이낸스타워에서 최창석 위원장·조순익 부위원장 등 대책위 측 관계자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가 끝난 후 대책위는 "기업은행에 사적화해 실무협상단 구성을 제안했으나 은행 측이 이를 거부했다"며 "향후 금감원 제재심에서 기업은행에 대한 중징계가 내려지도록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기업은행은 "디스커버리 판매사 최초로 지난해 6월 투자원금의 50%를 선가지급하는 등 투자자 피해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대책위가 사적화해 실무협상단 구성을 요청했으나 이미 법리검토 등을 통해 현실적으로 어려운 사안임을 감안, 부정적 의견을 전달했다. 금융감독원의 제재심과 분조위 절차가 진행 중이므로 이에 성실히 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18년 환매가 중단된 'US핀테크글로벌채권 펀드'는 국내 운용사 디스커버리운용이 기획한 투자 상품이다. 기업은행은 2017~2019년 디스커버리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와 디스커버리US부동산선순위채권펀드를 각각 3612억원, 3180억원 어치를 판매했다. 그러나 미국 운용사가 펀드 자금으로 투자한 채권을 회수하지 못하면서 국내 투자자들의 투자금도 묶이게 됐다. 글로벌채권펀드 695억원, 부동산선순위채권펀드 219억원이 환매 지연되고 있는 상태다.
기업은행은 지난해 6월 이사회를 열고 디스커버리 핀테크 글로벌(선순위) 채권 펀드 투자자에게 최초 투자원금의 50%를 선지급하기로 결정했다. 피해자들은 기업은행이 불완전판매를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위험성을 고지하지 않고 무리하게 영업에 나섰다는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디스커버리펀드 판매과정 전반을 살펴보는 조사를 진행했으며, 이달 중 기업은행 제재심을 개최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now@newsis.com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시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귀네스 팰트로 "코로나19엔 무설탕 김치가 약"…英의료진 '경고'
- 함소원·진화 결별설...'아내의 맛' "사생활이라 알 수 없다"
- 경찰, 흉기 살해된 40대 여성 신고에 부실 대처 감찰 진행
- ‘성폭행 의혹’ 기성용측 "관련 없음…법적 대응 불사"
- 근무시간에 내연, 남녀경찰 파면…여성간부가 더 적극적
- 지드래곤·제니, 열애설…YG "사생활, 확인 어렵다"
- 타이거우즈 사고차량 제네시스 GV80…현대차 "쾌차 기원"
- 중학교 교사가 채팅앱으로 만난 20대 여성 모텔 감금
- 봉사단체 여직원 강제추행 70대 목사, 2심도 집유
- ‘교실내 불륜 행각’ 사실...전북교육청, 장수군 교사들 징계 수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