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경향신문]
컴퓨터 마우스를 많이 클릭하거나 손목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은 ‘손목 결절종’이라는 질환을 주의해야 한다. 손목 결절종은 손 관절에 생기는 물혹으로, 힘줄이나 관절막에서 끈적한 점액질이 나와 고이는 풍선 같은 주머니이다.
손목 결절종은 양성 종양의 하나이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지 않는 한 꼭 제거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주머니가 점점 커지면서 염증 반응이 심해지거나 관절막이나 신경 등을 압박하면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외부로 튀어나온 물혹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아 치료하기도 한다.
치료법은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비수술적 치료는 주사기로 결절종 내에 있는 점액질을 빼내는 것이다. 흉터가 거의 없고 간단하지만 점액질이 고이는 주머니와 관절막이 그대로 남아 있어 재발할 확률이 상당히 높다. 비수술적인 방법에도 불구하고 혹의 크기가 과도하게 큰 경우나 손목 통증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수술적 치료를 진행한다.
수술적 치료는 절개술과 내시경으로 나뉜다. 절개술은 손목 결절종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술법으로, 말 그대로 피부를 절개해 점액질이 차오르는 주머니와 점액질이 흘러나오는 관절막을 함께 제거한다. 재발률이 낮지만 어쩔 수 없이 흉터가 남게 된다. 내시경으로 손목 결절종을 치료할 경우 절개술보다 통증이 적고 흉터가 작게 남는다. 그러나 손목 결절종이 하나의 큰 덩어리가 아니라 여러 개의 격벽으로 나뉘어 있거나, 여러 부위에 다발성으로 생긴 경우에는 내시경으로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승준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신문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윤 대통령 6촌 친척 대통령실 근무…‘비선 논란’ 증폭
- 윤석열 대통령은 빵 사러 갔고, 일본은 움직였다
- [단독]남주혁 가담 ‘카톡감옥’ 존재…또다른 학폭 피해자 호소
- 윤석열의 두 달, 먹고살 만하십니까
- "자네 경찰서장 누구냐" 익산시 부시장 폭언 물의
- “널 혼자 두고 갈 수 없어서”···‘자녀 살해 후 자살’ 명백한 살인범죄
- 권성동, 김건희 수행 '비선 보좌' 논란에 “문재인 대통령 때 BTS 동원"
- SH공사 “25평 아파트 실질 원가는 1억5000만원선”
- 윤 대통령 친척, 대통령실 근무 중···"김건희 여사 업무 총괄" 위법 아니지만 불공정 논란
- 내년 1월부터 전국 어디서나 주민등록증 신규 발급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