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노래·관현악 합주 망라한 전통예술 음악극

오현우 입력 2021. 1. 17. 18:04 수정 2021. 1. 18. 09:3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극장이 춤과 노래부터 관현악 합주까지 전통예술을 총망라한 공연을 선보인다.

창극과 국악 관현악에 전통 무용을 곁들인 음악극 '명색이 아프레걸'(사진)이다.

이번 공연은 국립극장 산하의 관현악단, 무용단, 창극단 등 세 단체가 뭉쳐서 기획했다.

국립관현악단의 7인조 앙상블과 객원 밴드가 반주를 맡고 전정아 박준명 박수윤 박소영 이태웅 이도윤 등 국립무용단원 6명이 전통 무용을 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연 프리뷰 - 명색이 아프레걸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20~24일
첫 여성 감독 박남옥 일대기 다뤄


국립극장이 춤과 노래부터 관현악 합주까지 전통예술을 총망라한 공연을 선보인다. 창극과 국악 관현악에 전통 무용을 곁들인 음악극 ‘명색이 아프레걸’(사진)이다.

오는 20~24일 달오름극장에서 초연하는 ‘명색이 아프레걸’은 국내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인 박남옥(1923~2017)의 영화 제작 과정을 다룬다. 경북 경산 하양에서 일제강점기에 태어난 박남옥은 전통적인 여성상을 깨뜨리려 분투했다. 이화여전(현 이화여대) 가사과(가정과)에 입학했지만 독일의 여성 영화감독 겸 배우 레니 리펜슈탈(1902~2003)의 ‘올림피아’에 감명받아 학교를 중퇴하고 영화계에 투신했다. 1955년 제작한 ‘미망인’은 그가 남긴 유일한 작품이다.

열정은 있었지만 현실은 고됐다. 그는 갓난아기를 등에 업은 채 촬영 현장을 누볐다. 배우와 출연진의 밥도 차려줬다. 극본을 쓴 고연옥 작가는 “촬영장에 아이를 업고 나온 박남옥을 보고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당시 여건에 많은 걸 느꼈다”며 “성차별 등 고정관념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현대 여성들도 충분히 공감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번 공연은 국립극장 산하의 관현악단, 무용단, 창극단 등 세 단체가 뭉쳐서 기획했다. 이소연 국립창극단 단원과 소리꾼 김주리가 주인공 박남옥 역을 맡아 무대에 번갈아 선다. 국립관현악단의 7인조 앙상블과 객원 밴드가 반주를 맡고 전정아 박준명 박수윤 박소영 이태웅 이도윤 등 국립무용단원 6명이 전통 무용을 춘다.

연출진도 화려하다. 김광보 국립극단 예술감독이 연출을 맡아 2017년 차범석 희곡상을 수상한 고연옥 작가와 호흡을 맞췄다. 오페라 작곡가로 이름난 나실인이 노래를 지었다. 주로 오페라를 작곡했던 나 작곡가는 “이번 작품은 전형적인 창극이 아니라 창과 국악기 앙상블을 엮은 뮤지컬에 가깝다”며 “중창, 합창 등 오페라의 특징도 반영한 새로운 형태의 음악극”이라고 설명했다.

작품에는 오페라와 연결되는 부분도 있다. 그는 “여성 소리꾼들 목소리는 오페라 가수들과 달리 대사할 때와 노래할 때 음역대가 비슷하다”며 “가성 대신 진성을 내서 가사 전달력이 좋고 호소력도 짙다”고 말했다. 그가 미리 귀띔해준 명장면은 열 번째 장면에서 등장하는 ‘명색이 아프레걸’. 주인공과 다른 여성들의 합창이다. 그는 “소리꾼들이 블루스 리듬에 맞춰 합창하는 장면이 인상 깊다”며 “여성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작품이라 여성 소리꾼들의 다채로운 음색을 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