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유럽의약품청 해킹공격..셀트리온 코로나 항체약 일부문서에도 접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럽의약품청(EMA) 전산시스템이 최근 사이버 해킹 공격을 받아, 셀트리온이 EMA에 제출한 코로나19 항체의약품 '렉키로나주'와 관련 문서 일부도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셀트리온은 22일 "EMA에 제출했던 문서 중 렉키로나주와 바이오시밀러 허쥬마, 트룩시마 관련 일부에 불법적인 접근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EMA로부터 통보받았다"고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한편 셀트리온 '렉키로나주'는 경증~중등증 코로나19 확진자 치료를 위해 개발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영성 기자 = 유럽의약품청(EMA) 전산시스템이 최근 사이버 해킹 공격을 받아, 셀트리온이 EMA에 제출한 코로나19 항체의약품 '렉키로나주'와 관련 문서 일부도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셀트리온은 22일 "EMA에 제출했던 문서 중 렉키로나주와 바이오시밀러 허쥬마, 트룩시마 관련 일부에 불법적인 접근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EMA로부터 통보받았다"고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이번 해킹 공격 대상은 셀트리온뿐 아니라 코로나19 백신 개발사인 미국 모더나, 독일 바이오앤테크 등 일부 다국적 기업들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셀트리온 제출 문서 중 일부가 외부로 유출됐을 가능성이 나온다. 다만 해당 문서에 환자 개인 정보는 전혀 포함돼있지 않다는 게 셀트리온의 설명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셀트리온 자체 IT 시스템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어떠한 유출이나 피해를 입진 않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EMA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렉키로나주를 비롯한 바이오의약품의 임상 및 허가 절차도 차질없이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셀트리온 '렉키로나주'는 경증~중등증 코로나19 확진자 치료를 위해 개발됐다. 국내에선 허가 심사 막바지 단계에 있는 가운데, 셀트리온은 곧 유럽과 미국에도 허가신청을 완료할 계획이다.
ly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박휘순 '17살 어린 아내 천예지, 시아버지 치매 중요치 않게 생각'
- 전인권, 옆집과 조망권 시비끝 기왓장 투척…경찰엔 '돌 던졌다'
- 홍준표 '김종인 주호영, 안철수 핍박마라…결국 될 사람이 될 것'
- 임종석도 이재명에 견제구 '고통· 피해 더 큰 곳 지원해야 공정· 정의'
- 조은산 '정청래, 지지율 40%대 文이 성공한 대통령? 트럼프도 41%인데…'
- [N해외연예] 아미 해머 전 여친 '그가 내 갈비뼈 먹으려 했다' 충격 주장
- 중학생들 노인 폭행 동영상 온라인서 급속 확산
- '해외성매매 남편에 성병 옮아'…80대 시모 머리채 잡고 분풀이
- [N샷] 이세영, 쌍꺼풀 수술 후 물오른 미모…확 달라진 분위기
- 스벅 플레이모빌 '대란' 조짐…하루 만에 중고장터엔 5배 '리셀 매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