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ild a stronger alliance (KOR)

입력 2021. 1. 24. 19: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북핵은 심각한 위협"이라고 못 박았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22일 "대통령의 관점은 의심의 여지 없이 북한의 핵탄두 미사일과 확산이 세계 평화와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는 것"이라고 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U.S. President Joe Biden has made it official. At a press briefing on Friday, White House press secretary Jen Psaki said, "Our president's view is, of course — that is without question — that North Korea's nuclear ballistic..

U.S. President Joe Biden has made it official. At a press briefing on Friday, White House press secretary Jen Psaki said, “Our president’s view is, of course — that is without question — that North Korea’s nuclear ballistic missile and other proliferation-related activities constitute a serious threat to the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of the world.” She added that the Biden administration will adopt “a new strategy” toward North Korea “in close consultation with South Korea, Japan and other allies.” Her statement is a declaration of a multilateral approach to the North Korean issue instead of the “top-down” approach of Donald Trump.

The comment the spokesperson made just two days after the launch of the new U.S. administration reflects America’s concerns that North Korea has up to 80 nuclear weapons despite Trump’s three summits with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Moreover, the security and foreign affairs team in the Biden administration is being filled with veteran diplomats with deep distrust of North Korea, including Wendy Sherman, the deputy state secretary nominee and former senior official in the Obama administration.

In a New Year’s address, however, President Moon Jae-in accentuated Kim’s “unflinching will” to denuclearize. Moon even mentioned the need to consult with North Korea — not the United States — over the joint military drill in March. In a speech at the Eighth Congress of the Workers’ Party on Jan. 12, the North Korean leader mentioned “nuclear power” 36 times followed by the appearance of a new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in the parade in Pyongyang. In a long editorial Friday, the Washington Post also raised the possibility of North Korea conducting another missile launch in the coming weeks.

Moon is eager to achieve tangible results in inter-Korean relations before he steps down in May 2022. But impatience will only spike worries from the Biden administration. Washington believes such a rush will only hamper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and widen the schisms in the alliance. It’s better for Seoul to help Washington draw up a joint roadmap to denuclearizing North Korea before it is too late.

During the Obama administration in which Biden served as vice president, Obama and his Korean counterpart Park Geun-hye issued a joint statement in 2015 confirming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s a “serious threat.” Biden took a rare step of inviting Park to his residence for a luncheon to discuss the joint statement. When Moon makes a phone call to Biden, he must share the nuclear threat with Biden and make it official. Only then can Moon recover Washington’s trust.

취임 이틀만에 "북핵은 위협" 못박은 바이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북핵은 심각한 위협"이라고 못 박았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22일 "대통령의 관점은 의심의 여지 없이 북한의 핵탄두 미사일과 확산이 세계 평화와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한국·일본 등 동맹들과 긴밀한 협의 속에 '새로운 전략'을 채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톱다운' 방식 대신 실무협상부터 밟아 가는 '보텀업'과 동맹과의 공조를 중시하는 다자주의적 접근을 취할 것을 선언한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 이틀 만에 북핵에 대한 입장을 천명한 건 전임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세 번이나 만났지만 북한은 해마다 6~7기씩 핵무기를 늘려 최다 70~80기의 핵무기를 축적하는 등 상황이 더 나빠졌다는 인식 때문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안보팀은 웬디 셔먼 국무부 부장관 후보자처럼 클린턴 행정부 시절부터 북한을 다루면서 평양에 불신이 깊어진 한반도 전문가들로 채워지고 있다.

그런데 이런 바이든 행정부를 상대로 문재인 대통령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가 분명히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이 중단을 요구한 3월 한·미 연합 군사훈련에 대해서도 미국이 아니라 북한 측과 협의할 수 있다고 말해 논란을 불렀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12일 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핵(무력)'을 36차례나 언급했다. 이어진 야간 열병식에선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까지 공개하며 핵무장 야욕을 과시했다. 워싱턴포스트가 22일 "앞으로 몇 주 동안 김정은의 현란한 미사일 발사나 무력시위를 피할 길이 없을 것"이란 사설을 낸 건 북한의 위험한 도발 가능성에 대한 워싱턴 조야의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문 대통령으로선 1년여 남은 임기 안에 남북관계에 성과를 내고 싶은 마음이 급할 것이다. 그러나 4년 임기를 막 시작한 바이든 행정부 입장에선 성급한 대북 접근은 북한의 비핵화 진전을 막고 한·미 동맹의 균열을 초래하리란 우려를 낳을 뿐이다. 급할수록 동맹을 중심에 두고, 향후 두세 달이 걸릴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리뷰 기간에 공동의 북한 비핵화 로드맵을 구축해 가는 것이 순서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한·미 정상은 "북핵은 심각한 위협"이란 공동성명(2015년)을 냈다. 당시 바이든 부통령은 오바마와 회담하기 위해 방미한 박근혜 대통령을 이례적으로 관저에 초대해 오찬을 대접하며 공동성명의 틀을 논의한 바 있다. 문 대통령도 바이든 대통령과 통화하게 되면 북핵의 위협에 대한 인식부터 공유하고, 그 사실을 공표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한·미 간에 신뢰가 회복돼 워싱턴에 대한 서울의 발언권이 커질 수 있음을 유념하기 바란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