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겨울의 끝자락/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이동구 입력 2021. 1. 25. 0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4절기의 마지막 대한(大寒)이 지났다.

겨울이 끝자락을 향하고 있으니 왠지 반가운 마음이 생길 수밖에.

추위가 심하거나 싫어서가 아니라 겨울의 맛조차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

만물에 새 생명을 불어넣을 봄이 그리 멀지 않음을 위안 삼으며 겨울의 끝자락을 보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24절기의 마지막 대한(大寒)이 지났다. “대한이 소한의 집에서 얼어 죽는다”는 말처럼 맹위를 떨치던 추위가 한풀 꺾이기 시작했다. 겨울이 끝자락을 향하고 있으니 왠지 반가운 마음이 생길 수밖에. 70~80년대까지만 해도 제주에서는 이맘때를 신구간(新舊間)이라며 연중 최고의 이사철로 여겼다고 한다. 여러 이유가 있었겠지만 새봄에 대한 기대가 컸기 때문이라 믿어진다.

이번 겨울은 유난히 지루하고 짜증스럽게 느껴진다. 추위가 심하거나 싫어서가 아니라 겨울의 맛조차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 언 몸을 녹이며 쓴 소주잔을 나누던 정겨운 만남도 줄었고, 얼음낚시, 스키 등 겨울에만 느낄 수 있는 낭만도 사라졌다. 무엇보다 경기가 활기를 잃으면서 서민들의 삶은 더욱 팍팍해졌고 사회 온기 또한 그만큼 냉랭하기만 하다. 모두가 코로나19라는 불청객으로 지겹고도 우울한 겨울을 보내고 있다.

밤이 깊을수록 새벽은 가깝다고 했다. 추위 또한 더해 갈수록 그만큼 봄은 가까워지기 마련 아닌가. 대한이 지났으니 다음 절기는 입춘이다. 생각만 해도 몸과 마음이 따뜻해진다. 꽃향기보다 짙은 백신 소식 때문일지도 모른다. 만물에 새 생명을 불어넣을 봄이 그리 멀지 않음을 위안 삼으며 겨울의 끝자락을 보낸다.

yidonggu@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