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직불제+가격안정'..코로나에도 농가소득 4300만원 '사상최고'

이명철 2021. 1. 25. 0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농가소득이 4300만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요 농축산물의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면서 농가소득 상승세를 이끌었고 처음 시행한 공익직불제 영향으로 이전소득이 1300만원을 돌파하는 등 농가 소득을 안정적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2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소득 추정치는 4309만8000원으로 전년(4118만2000원)대비 4.7%(191만6000원)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농가소득 전년比 4.7% 늘어..사상 최대수준
변동직불금 이연 지급, 농축산물 가격 상승세 영향
이전소득도 늘어..올해 농가소득 약 4372만원 전망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지난해 농가소득이 4300만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요 농축산물의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면서 농가소득 상승세를 이끌었고 처음 시행한 공익직불제 영향으로 이전소득이 1300만원을 돌파하는 등 농가 소득을 안정적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지난해 10월 7일 강원 홍천군 북방면의 논에서 벼를 수확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소득 추정치는 4309만8000원으로 전년(4118만2000원)대비 4.7%(191만6000원) 증가했다.

농가소득은 2019년 전년대비 2.1%(88만4000원) 감소했다가 1년만에 다시 증가 전환했다.

정아름 농식품부 농업정책과장은 “지난해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괜찮아 농산물 판매로 얻는 농업총수입이 증가했고 2018~2019년산 쌀 변동직불금 지급으로 농업소득이 늘었다”며 “지난해 새로 지급한 공익직불제는 이전소득 증가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농업소득은 1175만2000원으로 같은기간 14.5%(149만1000원)이나 늘었다. 농업소득은 2006년(1209만2000원) 1200만원을 넘은 후 제자리 걸음을걷다 2018년(1292만원)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바로 이듬해인 2019년(1026만1000원) 크게 감소한 바 있다. 쌀값 시세에 따라 부족분을 보전하는 변동직불금이 2019년 지급되지 않아서다. 2020년에는 변동직불금 미지급분이 반영돼 농업소득이 크게 증가했다.

주요 농축산물 가격 상승세도 농업소득 증가에 보탬이 됐다. KREI는 지난해 농업생산액이 51조5000억원으로 전년대비 3.7%(1조82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추정했다.

재배업 생산액은 2020년산 쌀과 과일 가격이 오르면서 같은기간 3.6% 늘어난 30조9460억원을 기록했다. 한육우·돼지·계란값 상승세로 축잠업 생산액(20조5350억원)도 3.7% 증가했다.

정부 지원금 등을 나타내는 이전소득은 전년대비 17.5%(196만4000원) 늘어난 1319만4000원으로 사상 최대다. 지난해 작물에 관계없이 일정액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공익직불제를 처음 시행하면서 이전소득을 끌어올렸다.

다만 지난해 농외소득은 1596만3000원, 비경상소득은 218만9000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7.9%, 7.4% 감소했다.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농촌 관광 위축 등의 영향이다.

올해 농가소득은 전년대비 1.5%(63만1000원) 증가한 4372만9000원으로 예측했다. 지난해 증가했던 농업소득(1147만8000원) 경영비 증가 여파로 2.3%(27만4000원) 감소할 전망이다. 이전소득은 코로나19 지원금 축소로 2.7%(35만9000원) 줄어든 1283만5000원에 그친다.

그러나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면서 농외소득(1709만4000원)과 비경상소득(232만2000원)은 전년대비 각각 7.1%, 6.1% 늘어 농가소득 증가를 이끌 전망이다. .

중장기 농가소득은 2029년 5000만원대 진입할 전망이다. 2030년까지 농업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1.8%다. 농업소득은 연간 1.8%씩 성장해 2030년 1405만8000원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농외소득의 2030년 전망치는 2000만7000원으로 연평균 성장률(2.3%)이 가장 높았다. 이전소득은 연간 1.1%씩 늘어 2030년 1471만5000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이명철 (twomc@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