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남의 월가브리핑]월가 70% "내년 1분기 내 테이퍼링"..예상보다 빠르다

김정남 2021. 1. 25. 07: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묘한 긴장감' 추가 상승 vs 레벨 부담
블룸버그 월가 이코노미스트 40명 설문
10명 중 7명 "내년 1분기 안에 테이퍼링"
올해 초여름 테이퍼링 신호 등장 가능성
연준 돈줄 조이면 조정장 압박 커질수도
26~27일 올 첫 FOMC..파월의 입 주목

<미국 뉴욕 현지에서 월가의 핫한 시선을 전해드립니다. 월가브리핑이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고 투자의 맥을 짚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그야말로 ‘바이든 붐(Biden Boom)’입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지난주 4.20% 상승(1만2998.50→1만3543.06)했습니다. 현재 역사상 최고치입니다. 오를 대로 오른 레벨 부담이 작지 않음에도 지수가 계속 상승하는 건 조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이 있다는 방증입니다.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각각 0.59%, 1.94% 올랐습니다.

요즘 월가는 미묘한 긴장감이 있습니다. 미국 경제의 빠른 회복, 특히 백신의 성공적인 보급이 이뤄진다면 지금의 높은 주가마저 정당화할 수 있다는 강세론자들이 있고요. 동시에 기업가치, 다시 말해 밸류에이션에 비해 주가가 높다는 비관론자들이 있습니다. 길게 봐야 올해 상반기까지 강세가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지요. 그와 함께 중요한 키는 ‘유동성 장세’ 핵심인 연방준비제도(Fed)입니다. 연준은 이번주 26~27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여는데요.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가 지난 15~20일(현지시간) 월가와 학계 이코노미스트 40명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을 진행한 내용. (출처=블룸버그 제공)

월가 70% “내년 1분기 안에 테이퍼링”

블룸버그는 지난 15~20일 월가와 학계 이코노미스트 40명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을 진행했습니다. 주제는 최대 화두인 테이퍼링(tapering·양적완화 축소)이었는데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 한 대담에서 테이퍼링을 두고 “(때가 되면) 모두가 알 게 할 것”이라면서도 “출구를 논의할 시점이 아니다”고 했습니다. 일단 테이퍼링 이슈는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듯합니다.

월가는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일단 방향성 측면에서 테이퍼링 쪽으로 간다는데 별 이견이 없습니다. 설문에 응한 이코노미스트의 88%는 “연준은 점차 채권 매입을 줄일 것”이라고 했습니다. 연준은 현재 월 1200억달러 규모의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사들이고 있는데요. 이를 차츰 줄일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테이퍼링의 시기는 언제일까요. 여기부터 의견이 갈렸습니다. 올해 2~3분기 응답은 10%에 그쳤습니다. 그런데 올해 4분기의 경우 27%로 높아졌습니다. 가장 많은 의견이 나온 시기는 내년 1분기(35%)였습니다. 내년 2분기 혹은 그 이후로 예측한 이코노미스트는 28% 비중이었습니다. 종합해보면, 올해 안에 연준이 돈줄을 조일 수 있다는 응답이 37%이고 내년 1분기까지 범위를 넓힐 경우 72%입니다.

최근 월가 컨센서스는 올해 미국 경제의 큰 폭 반등으로 기울고 있습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6.4%에서 6.6%로 상향 조정한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대표적이지요. 국내총생산(GDP) 규모로 보면 팬데믹 이전만 못하지만, 그래도 7%에 가까운 성장률은 안도감을 줄 수 있는 숫자입니다. 테이퍼링이 내년 1분기 내로 이뤄진다는 건 생각보다 그리 멀리 있지 않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테이퍼 탠트럼(taper tantrum·긴축 발작)으로 기억하는 연준의 이전 테이퍼링은 2014년 1월 이뤄지기 시작했는데, 그 가능성을 언급한 건 2013년 5월이었습니다. 그때를 돌아보면, 올해 초여름께 연준이 테이퍼링 계획을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는 추정이 가능합니다. 현재 유동성 파티가 조금씩 마무리될 수 있다는 인식을 기져야 한다는 것이지요.

블룸버그가 지난 15~20일(현지시간) 월가와 학계 이코노미스트 40명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을 진행한 내용. (출처=블룸버그 제공)

월가는 또 “연준이 테이퍼링을 7~12개월 유지할 것”(48%)이라는 견해가 많았습니다. 이보다 더 긴 13~18개월(20%), 19~24개월(18%) 응답 역시 적지 않았습니다. 2013년 테이퍼 탠트럼 당시 시장 충격의 아픔을 갖고 있는 연준의 지상과제는 ‘부작용을 최소화한 테이퍼링’입니다. 칼 리카돈나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은 테이퍼링에 극도의 주의를 기울일 것”이라고 했습니다.

아울러 주목할 건 정책금리 인상 시기입니다. 놀랍게도 오는 2023년을 찍은 응답이 절반에 육박했습니다. 상당수 월가 인사들이 연준이 공식적으로 밝힌 시기보다 빨리 정책금리를 올릴 것으로 본다는 뜻입니다. 내년 1분기 테이퍼링을 시작해 1년 이상 지속한다면,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이 동시에 이뤄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2013년 5월 테이퍼링 가능성 언급 이후 2015년 12월 정책금리를 올렸던 직전보다 인상 시기가 빨라질 수 있는 겁니다.

테이퍼링을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습니다. 그 시기가 당겨진다는 건 연준이 목표했던 경제 회복을 빠르게 달성했다는 걸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증시를 비롯한 자산시장이겠지요. 지금의 ‘묻지마 매수’를 정당화할 만큼 경제 성장이 이뤄질지, 아니면 급격한 유동성 장세가 부메랑을 맞을 지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겠지요. 다만 후자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월가 내에 많아지고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는 정도는 말할 수 있습니다. 기자는 이번 설문을 보면서도 그런 느낌을 받았습니다. 미국 포인트로마 나자린대의 린 리저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팬데믹 내내) 억눌려 있던 수요가 폭발하면 올해 하반기와 내년 내내 인플레이션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했습니다.

연준의 통화정책 목표는 물가 안정과 고용 안정입니다. 물가 목표치(연 2%) 도달은 빨리 이뤄질 겁니다. 관건은 고용 안정인데요. 이 역시 바이든 대통령의 인프라 투자 의지를 볼 때 빠르게 회복할 여지가 있습니다. 골재·대형건축자재 공급업체 마틴 메리어트 머티리얼즈(Martin Marietta Materials)의 주가는 바이든 대통령 당선 이후 22.01% 급등했지요. 인프라 투자에 재정을 쏟아부을 테니, 이는 또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마냥 연준이 시장 충격을 완화할 것이라고 믿기에는 금융 여건이 불안한 게 사실입니다.

로빈 브룩스 국제금융협회(IIF)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최근 ‘테이퍼 탠트럼으로부터 배우는 교훈’ 보고서를 냈는데요. 그는 “광범위한 백신 접종 덕에 경제가 다시 열린다면 올해 중반께 (과거 테이퍼 탠트럼 같은) 대규모 채권 매도(채권금리 급등)가 다시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 (사진=AFP 제공)

애플, 테슬라, 페북…빅테크 실적 주목

기자는 파월 의장이 올해 첫 FOMC부터 특정 시그널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봅니다. 파월 의장이 최근 대담에서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 면모를 보였다는 평가가 적지 않았는데,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으로 봤다는 인사들도 꽤 됐습니다. 특히 파월 의장은 국채금리가 오르고 있음에도 현재 양적완화 수준에서 더 확대할 수 있다는 정도의 언급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해 미국 정부부채는 약 27조7000억달러로 전년 대비 약 4조5000억달러 급증했는데요. 이자비용은 오히려 약 430억달러 감소했습니다. 연준의 정책금리 인하와 양적완화 재개로 국채금리가 낮아졌고, 이에 정부의 원리금 부담이 줄어든 겁니다.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정부부채 평균 이자율은 1.695%로 2019년 말(2.429%)보다 한참 낮았습니다. 미국 의회예산국이 2025~2026년까지는 미국 정부의 이자 지급액이 지난해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하고 심지어 최근 재닛 옐런 재무장관이 초장기물인 50년물 국채 발행을 검토하겠다고 한 전제는 연준이 초완화적인 정책을 유지한다는 겁니다. 그런데도 파월 의장의 속내는 테이퍼링 쪽으로 기울고 있는 기류입니다.

시장은 혹시 모를 증시 폭락 충격 가능성을 잠재울 확실한 비둘기파 면모를 원하고 있는데요. 파월 의장이 그럴지는 미지수입니다. 오히려 다소 매파적인 뉘앙스를 풍기지 않을지 유념해야 합니다. 그의 한마디 한마디에 투자자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겠네요.

그 연장선상에서 오는 28일 나오는 지난해 4분기 미국의 경제성장률 속보치를 주목할 만합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예상치는 전기 대비 연율 기준 4.6% 증가입니다. 이 예상치를 기준으로 해서 시장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번주 또 하나의 이벤트는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입니다. 지난주 증시가 강세였던 건 예상밖 기업들의 실적이 좋았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주가가 높아도 실적이 받쳐준다면 추가 상승을 정당화할 수 있겠지요. 역시 이목이 모이는 기업은 애플입니다. 일단 월가 분위기는 나쁘지 않습니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애플의 매출액 전망치는 1025억4000만달러입니다. 전년 동기(918억2000만달러)보다 높은 실적입니다. 주당순이익(EPS)은 1.25달러에서 1.41달러로 증가했을 것이라는 예측입니다. 애플 실적이 27일 나오는데요. 이날 테슬라, 페이스북, 보잉 등이 실적을 공개합니다. 모두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입니다.

이외에 △마이크로소프트, 존슨앤드존슨(J&J), 3M(이상 26일) △맥도널드, 비자(이상 28일) △셰브런, 캐터필러(이상 29일) 등 대기업들이 지난해 4분기 성적표를 내놓습니다.

애플 로고. (사진=AFP 제공)

김정남 (jungki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