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탈중국 속도내는 애플.."베트남·인도서 아이폰·아이패드 생산 늘린다"
황민규 기자 입력 2021. 01. 27. 14:15기사 도구 모음
"중국 의존도 줄이기베트남·인도·말레이시아로 생산거점 옮길듯"애플이 베트남, 인도 지역에서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핵심 제품군 생산량을 늘릴 것이라고 닛케이아시안리뷰가 27일 보도했다.
애플이 아이패드를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하는 것은 이번이 첫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표적인 제품인 아이폰 역시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인도 지역에서 생산되는 출하량을 늘릴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중국 의존도 줄이기…베트남·인도·말레이시아로 생산거점 옮길듯"
애플이 베트남, 인도 지역에서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핵심 제품군 생산량을 늘릴 것이라고 닛케이아시안리뷰가 27일 보도했다. 최대 생산 기지인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와 관련해 애플이 바이든 대통령 정권에서도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쉽게 완화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닛케이는 소식통을 인용해 "올해 중순부터 베트남 지역에서 아이패드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애플이 아이패드를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하는 것은 이번이 첫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외신에 따르면 아이패드 생산기지를 베트남으로 옮기기 위해 폭스콘과 협의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제품인 아이폰 역시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인도 지역에서 생산되는 출하량을 늘릴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르면 이번 분기부터 인도에서 아이폰12 시리즈를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음성인식 스피커 제품군인 홈팟 미니도 베트남을 주력 생산기지로 삼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에어팟 등의 오디오 기기 제품 생산에서도 베트남의 비중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말레이시아도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다. 닛케이는 애플의 소형 PC ‘맥미니(Mac mini)의 일부 생산 설비를 말레이시아로 이전했다고 보도했다. 또 올해 맥북 생산 설비의 일부를 베트남으로 옮긴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맥북 생산의 대부분은 중국에서 진행돼 왔다.
애플의 이같은 행보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장기화와 중국 내 인건비 상승,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다변화 필요성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 미국 정부가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과 거리를 둘 것을 촉구하고 있다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닛케이는 분석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선비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김건희 여사 ‘용산 청사’ 나들이에 신은 신발, 143만원 ‘디올?’
- [르포] “1박에 2000만원” 바이든이 묵은 그랜드하얏트 ‘프레지덴셜 스위트룸’ 가보니
- 1000원 한장에 당첨 꿈꾸는 복권... 노인도 고시생도 소소한 행복 찾아
- “반포는요?”… ‘토지거래허가제’ 지역서 볼멘소리 나오는 이유
- ‘三星의 한 별’이던 LCD 사업…글로벌 삼성 초석되고 30년 역사 종지부
- 트위터·페이스북 대신 ‘링크드인’에 빠진 80년대생 오너
- 車에서 31인치 화면으로 영화 보고 게임도 하고
-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아들의 장애를 알고 강점만으로 싸우기를 그만두었다”
- “밥 먹는 시간이 무섭다”… 직장인은 구내식당 찾고, 학생들은 1000원 조식에 줄선다
- “1억짜리 빌라가 5억이 됐어요”… 재개발 사업지 ‘투기과열’ 주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