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탈중국 속도내는 애플.."베트남·인도서 아이폰·아이패드 생산 늘린다"
황민규 기자 입력 2021. 01. 27. 14:15기사 도구 모음
"중국 의존도 줄이기베트남·인도·말레이시아로 생산거점 옮길듯"애플이 베트남, 인도 지역에서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핵심 제품군 생산량을 늘릴 것이라고 닛케이아시안리뷰가 27일 보도했다.
애플이 아이패드를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하는 것은 이번이 첫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표적인 제품인 아이폰 역시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인도 지역에서 생산되는 출하량을 늘릴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중국 의존도 줄이기…베트남·인도·말레이시아로 생산거점 옮길듯"
애플이 베트남, 인도 지역에서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핵심 제품군 생산량을 늘릴 것이라고 닛케이아시안리뷰가 27일 보도했다. 최대 생산 기지인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와 관련해 애플이 바이든 대통령 정권에서도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쉽게 완화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닛케이는 소식통을 인용해 "올해 중순부터 베트남 지역에서 아이패드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애플이 아이패드를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하는 것은 이번이 첫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외신에 따르면 아이패드 생산기지를 베트남으로 옮기기 위해 폭스콘과 협의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제품인 아이폰 역시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인도 지역에서 생산되는 출하량을 늘릴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르면 이번 분기부터 인도에서 아이폰12 시리즈를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음성인식 스피커 제품군인 홈팟 미니도 베트남을 주력 생산기지로 삼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에어팟 등의 오디오 기기 제품 생산에서도 베트남의 비중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말레이시아도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다. 닛케이는 애플의 소형 PC ‘맥미니(Mac mini)의 일부 생산 설비를 말레이시아로 이전했다고 보도했다. 또 올해 맥북 생산 설비의 일부를 베트남으로 옮긴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맥북 생산의 대부분은 중국에서 진행돼 왔다.
애플의 이같은 행보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장기화와 중국 내 인건비 상승,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다변화 필요성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 미국 정부가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과 거리를 둘 것을 촉구하고 있다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닛케이는 분석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선비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중견기업 해부] 경영권은 장녀·지분은 막내… 깨끗한나라, 3세 체제 바뀔까
- 사장은 대기발령, 임원따라 직원도 줄줄이 그만둬...한샘 ‘엑소더스’
- 게이밍 모니터 공들이는 삼성·LG… 작년 출하량 31% 증가
- ‘35년만에 첫 적자’ 현금부자 대교…오너2세 강호준 ‘디지털 전환’ 총대
- [세종풍향계] 8년 만에 돌아온 추경호 취임 50일, 기재부의 변화…”부총리가 내 이름 불러주네”
- 삼성 추격에 ‘이미지센서’ 원조 소니 아성 흔들린다
- 일주일 만에 60% 넘게 급등한 실리콘투, 무상증자 가닥…이사회 후 공시 예정
- 마트에서 가성비 와인, 편의점에서 수제맥주, 남대문에서 위스키, 스타 내건 소주 오픈런까지
- “줍줍 인기도 시들”… ‘분양가 할인’까지 재등장한 청약시장
- 하락장서 나홀로 생존한 中 ETF…전기차·바이오 등 수익률 고공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