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美싱크탱크 "中 견제하려면 미국이 한일관계 개선 이끌어야"
황민규 기자 입력 2021. 01. 29. 14:11기사 도구 모음
"한국이 중국 방향으로 전략적으로 표류하는 것 막아야""韓日 관계 개선 기반으로 한중 관계 밀착 차단해야"미국의 싱크탱크 애틀랜틱 카운슬이 지속적으로 팽창하며 미국의 가장 큰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과 일본의 관계 개선을 이끌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전략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이 위안부, 강제징용 문제와 이와 관련한 경제적 보복 등으로 관계가 경색된 현 상황은 중국에 대항해 공동 전선을 갖추는 데 걸림돌이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한국이 중국 방향으로 전략적으로 표류하는 것 막아야"
"韓日 관계 개선 기반으로 한중 관계 밀착 차단해야"
미국의 싱크탱크 애틀랜틱 카운슬이 지속적으로 팽창하며 미국의 가장 큰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과 일본의 관계 개선을 이끌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전략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이 위안부, 강제징용 문제와 이와 관련한 경제적 보복 등으로 관계가 경색된 현 상황은 중국에 대항해 공동 전선을 갖추는 데 걸림돌이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28일(현지 시각) 애틀랜틱 카운슬은 익명으로 공개한 미국 전직 고위 당국자의 대중국 전략 보고서에는 한국의 중국 경도 가능성을 경계하며 대중 견제 차원에서 한일 관계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는 등의 제언이 담겼다.
특히 대중 대응에 있어 동맹과의 공조 강화를 강조하고 있어 조 바이든 미 행정부의 대중 강공 기조 유지와 맞물려서도 주목된다. 미국의 반중 전선 구축과 관련, 미중 사이에 낀 한국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이다.
이 보고서는 80쪽에 달하는 보고서로 애틀랜틱 카운슬은 "보고서의 저자가 중국을 다뤄본 경험과 깊은 전문성을 지닌 전직 고위 행정부 당국자"라면서 "저자의 요청을 받아들여 전례 없는 익명 보고서 발간 결정을 내렸다"고 전했다.
저자는 미국의 대중 '전략적 경쟁'의 영역을 나열하면서 "한국이 계속해서 중국의 방향으로 전략적으로 표류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일본과 한국의 관계 정상화를 촉진하는 것"도 포함했다.
미·중 간 패권 경쟁이 가속하는 상황에서 한국이 중국 쪽으로 치우쳤다는 인식을 내비치며 한일 관계 개선을 한중간 밀착을 차단하기 위한 지렛대로도 삼아야 한다는 점을 거론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한미일 3자 협력은 바이든 행정부가 대북 대응 및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과 관련하여 강조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지난 27일 이뤄진 한미, 미일 외교수장 통화에서도 한미일 3자 협력 지속·강화를 언급한 바 있다.
또한 저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2020년대 전략을 짚으면서 중국이 한국에 '핵무장 된 북한의 미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선 중국이 최상의 선택'이라고 결론 내리게 하는 것을 포함, 한국을 자국의 경제적, 전략적 영향권 안으로 끌어들이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선비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필요한 만큼 일하는 지금, 제일 행복해요”… 56세 은퇴한 전문가가 말했다
- 시장에 차고 넘치는 LCD 재고…삼성·LG 이유 있는 철수
- 현대차, 노조에 ‘허락’받는 사이… 테슬라는 북미에 공장 또 짓는다
- “5년前 4만원에 산 주식 5천원 됐다”...미샤·하나투어에 한샘까지 IMM PE ‘휘청’
- 계열사 대표 40대 세대교체…서민정 입김 세진 아모레 ‘3세 경영’ 강화
- 삼성 언팩 D-1, 베일 벗는 갤럭시Z폴드4·플립4… 대중화에 ‘올인’
- “삼성은 저만치 가는데” TSMC, 3나노 칩 낮은 수율에 골머리 …애플은 내년 적용, 인텔 칩은 출시 연기
- [단독] 항공사 최고참 승무원의 두 얼굴… 후배·동료 상대 수십억원 투자 사기
- 김승연 한화 회장 부인 서영민 여사 별세… 향년 61세
- [가상자산 큰 손들]① 빗썸, 하루 1조원 거래되는데, 아무도 주인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