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규제 1년반만에 日기업 '곡소리'.."韓 국산화 이어가야"

배진솔 2021. 2. 11. 11: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이 과거 몇십 년간 쌓아온 최첨단 소재 기술 수준과 비슷해지려면 10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하지만 우리 자체적으로 힘을 길러 내고 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를 계기로 한국이 반도체 소재 국산화에 나서며 일본 기업들이 타격을 입자 일 년 반 만에 일본 언론에서 자조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일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사무국장 인터뷰
니혼게이자이신문, "韓 반도체 소재 국산화 이뤘다" 전해
"韓 국산화로 손해보는 것은 일본 기업"
日, 소재산업없는 대만 등 판로 뚫으려 나서

[이데일리 배진솔 기자] “일본이 과거 몇십 년간 쌓아온 최첨단 소재 기술 수준과 비슷해지려면 10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하지만 우리 자체적으로 힘을 길러 내고 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일본 정부의 한국 수출 규제 강화 조치와 관련한 양국 과장급 첫 실무회의에 참석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전찬수 무역안보과장(오른쪽부터), 한철희 동북아 통상과장이 12일 도쿄 지요다구 경제산업성 별관 1031호실에서 일본 측 대표인 이와마쓰 준 무역관리과장, 이가리 가쓰로 안전보장무역관리과장과 마주 앉은 채 얼굴을 쳐다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를 계기로 한국이 반도체 소재 국산화에 나서며 일본 기업들이 타격을 입자 일 년 반 만에 일본 언론에서 자조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사무국장은 지난 10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우리의 국산화 단점은 없다”며 “정치와 산업을 단절시켜달라는 일본 기업들의 곡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지난 7일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인용해 2020년 일본의 불화수소 한국 수출은 2019년 대비 75% 감소했으며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강화 전과 비교하면 90% 정도 줄었다고 전했다.

앞서 일본 정부는 2019년 7월 한국에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폴리이미드 등 반도체 관련 핵심 소재 수출규제를 강화했다. 이에 한국 정부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종료 통보로 맞서며 한·일 관계가 극으로 치달았다. 일본 측은 해당 소재의 무기 전용 가능성이 우려된다는 이유를 내세웠지만 사실상 한국 대법원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 조치였다.

이 때문에 한국의 일본산 반도체 소재 수입량은 2019년 6월 3026t에서 8월에는 ‘제로’로 떨어졌다. 같은 해 12월 수입이 일부 재개되면서 793t까지 늘었지만, 다시 떨어지면서 2020년 월평균 400t 정도에 그쳤다.

안기현 사무국장은 “우리가 계속 국산화로 가면 손해 보는 것은 일본 기업”이라며 “실제로 불화수소 소재의 경우 국내 생산이 많아지고 순도도 높이면서 일 년 반 만에 기술 수준이 발전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제로 스켈라케미파같은 일본 기업은 이번에 매출이 굉장히 떨어졌다”며 “불화수소뿐만 아니라 다른 소재에서도 국산화가 잘 되면 일본의 다른 기업 타격으로도 번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일본의 스텔라케미파와 모리타화학공업의 피해가 컸다. 한국 수출이 감소하면서 두 회사는 연간 60억엔(약 638억원)의 손실을 입고 있다. 스텔라케미파는 2019 회계연도(2019년 4월~2020년 3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용 플루오린화 수소 출하량이 26% 줄었다. 모리타화학은 한국 이외 지역에 출하량을 늘려서 감소분을 보충한다는 계획이다.

안 사무국장은 일본 기업이 대만이나 다른 나라로 판로를 뚫으려고 하고 있다고도 했다. 최근 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인 대만의 TSMC가 일본에 반도체 연구개발(R&D) 회사를 설립하기로 하며 두 나라의 연계를 강화해나가는 것에 대한 언급이다.

그는 “첨단공정으로 갈수록 최첨단 소재가 중요한데 대만은 소재 산업이라는게 없다”며 “일본 쪽에서는 최첨단 소재를 큰 수요기업과 함께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두 나라의 원하는 지점이 맞아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의 삼성전자같은 기업에게는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면서도 “방법이 없다. 자체적으로 로컬 기업을 키우면서 첨단 소재에 가까워지면서 우리도 다른 판로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진솔 (sincere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