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박지원과 하태경이 문 닫고 언성 높인 이유는?
조소진 입력 2021. 02. 23. 09:10기사 도구 모음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국회의원 사찰 자료에 대한 국회 정보위원회의 비공개 전체회의가 열린 22일.
정보위원장실 문 밖으로 고성이 흘러나왔다.
'사찰 문제를 정략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정보를 선택적으로 공개하는 국정원의 의도가 의심스럽다'는 취지였다.
민감한 국가 정보를 다루는 정보위 회의는 비공개로 연 뒤 여야 간사 브리핑으로 언론에 공개되는데, 최근 하 의원의 실수 논란을 지적한 것이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국정원이 정치에 선택적으로 개입하는 거죠. 그게 아니고 뭡니까!"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국회의원 사찰 자료에 대한 국회 정보위원회의 비공개 전체회의가 열린 22일. 정보위원장실 문 밖으로 고성이 흘러나왔다. 목소리의 주인공은 박지원 국정원장과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복수의 정보위 참석자에 따르면, 하 의원은 "국정원이 선택적 정치개입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찰 문제를 정략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정보를 선택적으로 공개하는 국정원의 의도가 의심스럽다'는 취지였다. 정보위 간사인 하 의원은 회의 브리핑에서도 "진보정부는 깨끗하고 보수정부는 더럽다고 이야기하는 국정원장의 시각이 이미 확인됐다"며 "저의가 의심되는 국정원의 '신종 정치개입 드라이브'에 우려를 표한다"고 했다.
하 의원의 공격에 박 원장은 비공개 회의에서 "정치 개입이 아니다. 왜 자꾸 국정원을 정치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려고 하느냐"고 받아쳤다고 한다. 하 의원의 언론 브리핑 실력도 문제 삼았다. 박 원장은 하 의원을 겨냥해 "회의에서 논의된 사안을 사실 그대로 브리핑해달라"고 항의했다.
민감한 국가 정보를 다루는 정보위 회의는 비공개로 연 뒤 여야 간사 브리핑으로 언론에 공개되는데, 최근 하 의원의 실수 논란을 지적한 것이다. 하 의원은 지난 16일 회의 브리핑에서 "북한의 사이버 공격 중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원천기술 탈취 시도가 있었고, 제약업체 화이자도 해킹당했다"고 설명했으나, 진위 논란에 휩싸였다. 국정원과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보위원들은 "화이자는 물론 특정 국내외 기업 이름이 회의에서 거론되지 않았다"고 부인했고, 하 의원은 "화이자라고 적힌 문건을 봤다"고 맞섰다.
조소진 기자 sojin@hankookilbo.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한국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문 대통령에 '운명' 맡기고... 신현수의 '불안한' 깜짝 컴백
- [단독] 중대본 회의 343번 열릴 때 이재명 세 번 참석했다
- 텍사스주 1800만원 전기요금 '폭탄', 한국서도 벌어질 수 있나?
- 임은정 "수사권 없어 마음고생했는데... 봄이 오긴 오나 보다"
- "음성 안나왔는데 출근 지시" 순천향대 간호사 폭로
- 대통령 1호 접종 논란, 바람직하지 않다
- '인성 상품화'의 부메랑... 연예계 '학투'의 그림자
- '할머니다운'게 뭔데?
- '미래산업 핵심원료'... 희토류 최강자 중국이 대미 반격 주저하는 이유
- '동학개미 힘 잃었는데 인플레까지?'..3월 증시 대조정 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