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 내비 검색량 1위 차지한 여행지는?

신익수 2021. 2. 23. 11: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관광공사 '코로나 시대 관광지도' 발표
에버랜드 지고 해수욕장, 공원이 인기
양양·밀양·옹진 등지로 여행족 몰려
코로나시대 검색량 1위 포인트인 여의도 한강공원. [사진 = 한국관광공사]
1년이 넘은 코로나19 시대. 여행족들이 네비게이션으로 가장 많이 검색한 여행지는 어디일까. 결론부터 알려드린다. 전통의 강호 에버랜드를 무릎꿇린 코로나 시대 1위 포인트는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관광공사가 지난 2월 17일 오픈한 관광특화 빅데이터 플랫폼 '한국관광 데이터랩(datalab.visitkorea.or.kr)'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작년 한해동안 전국 지역 방문자수는 2019년도 대비 평균 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면 접촉을 꺼리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잘 알려지지 않은 숨겨진 관광지, 비대면 자연관광지, 캠핑장, 수도권 공원 등이 인기를 끈 것으로 조사됐다. 확 바뀐, 코로나시대 관광업계 지형도를 소개한다.

1. 코로나에 떴다...양양 밀량 옹진 기장

여행 포인트도 지각변동을 거쳤다. 이동통신 빅데이터(KT)를 활용해 기초지자체별 방문자수를 분석해 본 결과, 인천공항이 위치한 인천 중구(-37%)와 경북 울릉군(-31%) 방문자가 가장 크게 줄었고, 서울 중구(-29%)와 서대문구(-27%), 종로구(-26%), 대구 중구(-26%)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강원도 양양군은 2019년도 대비 방문자수가 10% 늘었고, 섬이 많은 인천 옹진군도 방문자수가 7% 증가했다. 그 외 밀양시(7%), 고흥군(6%), 부산 기장군(5%) 등도 꾸준한 유입률을 기록하고 있다. 청정관광지로 인식하는 숨겨진 곳 방문 수요가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검색량 2위로 껑충 뛰어오른 을왕리 해수욕장.
2. 폭망한 곳...대구 경북

코로나 시대 가장 감소폭이 컸던 기간과 지역은 3월 대구(-57%)와 경북(-44%), 4월 제주(-44%), 8월과 12월 서울(-41%)로 조사됐다. 작년 연중 방문자수가 가장 크게 증가한 기간과 지역은 5월 강원(10%)이었으며,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 기간이었던 10월에 강원(5%), 전남(8%), 전북(8%), 경남(8%), 경북(8%) 등에 일시적으로 방문자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내비 검색량 1위 여행지는?

내비게이션 데이터(T map)를 활용한 관광지 유형별 검색건수 분석결과, 2019년도보다 건수가 늘어난 곳은 대표 비대면 여행지인 자동차극장(144%), 캠핑장(54%), 낚시(42%), 해수욕장(39%), 골프장(30%) 등이었다. 한편 인구밀집 또는 실내관광지인 카지노(-62%), 놀이시설(-59%), 경마장(-58%), 과학관(-56%) 등은 검색건수가 크게 줄었다.

검색건수 상위 관광지점은 2019년까지는 에버랜드, 롯데월드가 나란히 1위, 2위를 차지했지만, 코로나 시대에는 맥을 못췄다. 자연관광지인 여의도 한강공원, 을왕리 해수욕장이 나란히 1, 2위로 새롭게 등극하며 강세를 보였다. 특히 2020년에는 공원, 바다와 같은 자연관광지가 상위 검색지점을 대다수 차지했다.

[자료 제공 = 한국관광공사]
4. 업종별 뜬 레저는 골프

관광업종 소비지출의 지형도도 확 바뀌었다. 작년 BC카드 사용자의 관광업종 지출은 여행사 등 여행업 마이너스 90%, 면세점 마이너스 90%, 영화관, 극장 등 문화서비스는 마이너스 73%에 각각 달했다. 반면 대중교통 이동을 꺼리면서 렌터카 지출은 2019년도 대비 57% 증가했고 체험형 레저스포츠 소비는 2019년도 대비 6% 감소하는 데 그쳤다. 특히 충북(19%), 제주(4%), 강원(3%)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레저스포츠 소비가 오히려 증가했다. 이는 골프장에서의 지출 증가가 상당히 작용한 것이라는 진단이다.

[신익수 여행전문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