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올해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시장 규모 2조5천177억 전망..23%↑
홍지인 입력 2021. 02. 23. 12:00기사 도구 모음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올해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시장 규모가 2조5천177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3%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23일 밝혔다.
KISA는 지난해 6월 말 기준 방송통신위원회에 허가·신고된 1천565개 위치정보 사업자를 대상으로 같은 해 7~10월 설문 조사한 '2020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실태조사'를 이날 발표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올해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시장 규모가 2조5천177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3%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23일 밝혔다.
KISA는 지난해 6월 말 기준 방송통신위원회에 허가·신고된 1천565개 위치정보 사업자를 대상으로 같은 해 7~10월 설문 조사한 '2020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실태조사'를 이날 발표했다.
산업 부문별로는 차량·선박·드론 등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대인·대물 위치추적 및 관제서비스'의 매출 규모가 8천644억원(42.5%), 뉴스·날씨 등 '생활 및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5천91억원(25%)으로 각각 예측됐다. 수집된 위치정보를 분석·가공하는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는 128억원으로 집계됐다.
응답자들은 앞으로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54.3%)가 가장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위치정보와 융합 발전할 분야는 '교통'(41.1%)과 '물류'(34.8%)로 전망했다.
위치정보사업자의 경영 애로사항은 '개발비용 부족'(18.6%), '국내 법·제도 규제'(14.9%), '전문인력 부족'(13.7%) 등으로 조사됐다. 법·제도와 관련해 '개인위치정보 수집·이용·제공시 동의 획득'(42.1%), '개인위치정보 수집 후 통보 절차'(32.8%) 등 어려움을 토로했다고 KISA는 전했다.
권현오 이용자보호단장은 "위치정보 사업자들의 과반수는 매출액 50억 미만의 소기업으로, 위치정보 산업 활성화 및 기반 마련을 위해 꾸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ljungber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덕순이' 기성 앤더슨 "한국서 하루도 행복하지 않은 날 없어요" | 연합뉴스
- 쇼트트랙 임효준, 중국 귀화 결정…오성홍기 달고 올림픽 출전 | 연합뉴스
- 리설주 여사가 북한서 받는 상상 초월의 대우 [연통TV] | 연합뉴스
- 인도네시아 韓신발공장서 여직원들 앞 '발차기' 동영상 논란 | 연합뉴스
- "○○씨 보면 상쾌해"…일상 속 '먼지차별'을 아시나요 | 연합뉴스
- 추미애 "당해보니 알겠다…조국 가족, 장하다" | 연합뉴스
- 정읍 내장사 대웅전 방화 승려 "서운하게 해 불 질렀다" 진술 | 연합뉴스
- 타이거 우즈, 운전한 것도 기억못해…의식 잃은 채 첫 발견 | 연합뉴스
- 경찰 총격으로 숨진 '태권 소녀' 시신 도굴한 미얀마 군부(종합) | 연합뉴스
- '미스트롯2' 톱7, 새 예능 '내 딸 하자'서 다시 뭉친다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