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KISA "작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 매출액 2조331억"
손인해 기자 입력 2021. 02. 23. 16:29기사 도구 모음
지난해 국내 위치정보 산업 매출액은 2조331억원으로, 올해는 이보다 1.23배 성장한 2조5177억원이될 거라는 전망이 나왔다.
권현오 KISA 이용자보호단장은 "위치정보 사업자들의 과반수(69%)는 매출액 50억 미만의 소기업으로, 위치정보 산업 활성화 및 기반 마련을 위해 꾸준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KISA는 매년 본 조사결과를 반영해 스타트업 지원, 맞춤형 컨설팅 등 실효성 있는 사업자 지원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뉴스1) 손인해 기자 = 지난해 국내 위치정보 산업 매출액은 2조331억원으로, 올해는 이보다 1.23배 성장한 2조5177억원이될 거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3일 '2020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KISA는 지난해 6월 말 기준 방송통신위원회에 허가·신고된 1565개 위치정보 사업자를 대상으로 같은해 7월~10월까지 온라인·방문·전자우편 등을 이용한 설문조사 방법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부문별 매출액 규모는 '대인·대물 위치추적 및 관제서비스'가 8644억 원(42.5%), '생활 및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5091억 원(25%) 순으로 조사됐다. 매출액 증가율은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가 128억 원에서 240억 원으로 86.7% 증가해 전년 대비 가장 높았다.
대인·대물 위치추적 및 관제서비스는 차량·선박·드론 등 위치관제 및 자녀안심 서비스나 보험사·보안회사의 현장출동 등 위치추적 서비스를, 생활 및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는 뉴스나 날씨, 행사 등 위치기반 일상 생활정보 제공과 소셜네트워크, 헬스케어, 게임 등 서비스를 말한다.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는 수집되는 위치정보를 분석 또는 가공해 제공하는 서비스다.
응답자들은 향후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54.3%)가 가장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위치정보와 융합 발전할 분야는 교통(41.1%)과 물류(34.8%)로 전망했다. 또 4차 산업혁명 확산과 더불어 앞으로는 위치정보 단말로 자율주행차, 드론, 로봇 등 단말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위치정보사업자의 경영 애로사항은 개발비용 부족(18.6%), 국내 법·제도 규제(14.9%), 전문인력 부족(13.7%)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응답자들은 법·제도와 관련해 개인위치정보 수집·이용·제공시 동의 획득(42.1%), 제3자 제공 등 개인위치정보 수집 후 통보 절차(32.8%) 부분에서 어려움을 토로했으며 정부지원이 필요한 사항은 공공 인프라 및 공공 데이터 민간 개방(36.4%), 위치정보 관련 R&D 과제 확대(31.8%)라고 답했다.
권현오 KISA 이용자보호단장은 "위치정보 사업자들의 과반수(69%)는 매출액 50억 미만의 소기업으로, 위치정보 산업 활성화 및 기반 마련을 위해 꾸준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KISA는 매년 본 조사결과를 반영해 스타트업 지원, 맞춤형 컨설팅 등 실효성 있는 사업자 지원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son@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뉴스1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정보석 '둘째 아들 속도위반으로 얻은 손녀 덕에 우울증 극복'
- 성시경 '3천만원 축가 제안 거절, 월급 7만원 받으며 계속 후회'[신선놀음]
- '평창 金' 쇼트트랙 임효준, 중국 귀화…'운동할 방법 고민했다'
- '전두환 차남' 전재용, 목회자 길 걷는 중 '치매 걸린 아버지 기뻐해'
- 이재명의 분노 '이건 조작, 음해…'가능여부 문의'를 '만들라'로 날조'
- '故 김자옥 동생' 김태욱 SBS 전 아나운서, 오늘 발인…슬픔 속 영면
- '자발적 비혼' 조미령 '남자 지긋지긋…결혼 목표로 연애하면 힘들어'
- 오윤아, 아들 자폐 공개한 이유 ''아프다' 얘기 계속해야했다'
- 유민상 '몸무게 135㎏→145㎏ 늘렸다…연예인은 항상 발전해야'
- 홍준표 '윤석열 밀어내 野분열 씨앗뿌린 文, 이제 이재명 처리만 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