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아프간, 2020년 전투로 민간인 3035명 사망..평화협상후 더 늘어
김재영 입력 2021. 02. 23. 21:11기사 도구 모음
아프가니스탄에서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 정부와 탈레반 반군 간의 평화협상이 시작된 직후인 2020년 4분기에 오히려 민간인 사상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유엔의 연례 아프간 민간 사상자 보고서에 따르면 4분기에 891명이 사망하고 1901명이 부상해 사상자 총수가 전년 동기보다 45%나 급증했다.
2020년 전체로는 민간인 전투 피해는 사망 3035명, 부상 5785명으로 전년보다 15% 줄고 2013년 후 처음으로 사상자 총수가 1만 명 아래에 머물렀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뉴시스] 김재영 기자 = 아프가니스탄에서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 정부와 탈레반 반군 간의 평화협상이 시작된 직후인 2020년 4분기에 오히려 민간인 사상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유엔의 연례 아프간 민간 사상자 보고서에 따르면 4분기에 891명이 사망하고 1901명이 부상해 사상자 총수가 전년 동기보다 45%나 급증했다.
2020년 전체로는 민간인 전투 피해는 사망 3035명, 부상 5785명으로 전년보다 15% 줄고 2013년 후 처음으로 사상자 총수가 1만 명 아래에 머물렀다.
유엔은 이 같은 전반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아프간에서 한 해 전투로 인한 민간인 사망자가 7년 연속 3000명 이상 나왔다고 지적했다.
미군은 아프간서 2001년 침입부터 2013년 말 다국적군의 전투 임무 종료 및 이후 간접지원 잔류까지 포함해 사망자가 2000명 대에 머물렀다.
유엔의 민간 피해 보고는 2009년부터 시작되긴 했지만 전쟁이 20년째 계속되고 있는 아프간에서 10명에 가까운 민간인이 거의 매일 전투로 죽었다고 할 수 있다.
사망자의 62%가 탈레반과 이슬람국가(IS) 충성 조직에 의해 죽었으며 정부군에 의한 사망자도 22%에 달했다. 공습을 담당하고 있는 미군에 의한 민간인 사망은 1%에 그쳤다.
한편 탈레반은 2001년 미군 침입으로 수도 카불에서 쫓겨난 후 19년 만인 2020년 9월 처음으로 아프간 정부와 직접 대화 자리에 나와 평화협상을 시작했다.
탈레반은 그간 하미드 카르자이 및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의 아프간 정부에 대해 미군이 철수하지 않는 한 미군 괴뢰정부라면서 대화 상대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고수했다.
그러나 미군이 2019년 초부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탈레반과 협상에 들어가 2020년 2월 미군의 대부분 병력 철수와 탈레반의 평화협상 직접대화 개시를 타결했다. 이에 1만3000명의 간접지원 잔류 미군들이 철수해 2500명만 남았고 이마저도 2021년 5월까지 귀국한다는 일정을 잡았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조 바이든이 대통령에 당선되자 탈레반은 카타르 도하에서 진행되던 평화협상을 연기시키고 아직까지 다시 나오지 않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kjy@newsis.com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시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짜장면 먹고파" 112신고…'경찰의 촉' 강간 피해자 구출
- [죄와벌]내연녀 집에서 성관계…주거침입죄 성립할까?
- '봉투 줄까요' 물었더니 "그럼 들고가냐"…편의점 난동
- 한낮 대구 도심 카페서 '묻지마 폭행'…30대 여성 광대뼈 골절
- '성매매 했나' 6인병실 치료중인 여성 조사…"인권침해"
- "재워줄까" 13살 가출소녀 유인한 20대男…1심 징역형
- "너도 엄마처럼 바람피울래?"…의처증 50대, 딸에게 흉기
- "개고기·DVD·원숭이"…손흥민, SNS서 인종차별 당해
- 아동 앞에서 자위하던 50대, 잡고보니 17년전 아동 성추행도
- 죽이려한 아들, 용서해준 부모…존속살해미수 집행유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