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법원 "특경가법 횡령·배임 유죄 확정 때부터 취업제한"
정준기 입력 2021. 02. 23. 23:53 수정 2021. 02. 24. 00:02기사 도구 모음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특경가법)상 횡령·배임 범죄를 저지른 사람의 취업 제한은 형집행이 종료된 시점이 아니라 유죄 판결이 확정된 시점부터 시작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특경가법 제14조는 5억원 이상 횡령·배임 등 범행을 저지른 이에 대해 취업을 제한토록 하고, 취업 제한기간을 '징역형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날부터 5년' '징역형 집행유예기간이 종료된 날부터 2년' '징역형 선고유예기간'으로 정하고 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례 적용될 지 관심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특경가법)상 횡령·배임 범죄를 저지른 사람의 취업 제한은 형집행이 종료된 시점이 아니라 유죄 판결이 확정된 시점부터 시작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7부(부장 김국현)는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이 '취업을 불승인한 처분을 취소하라'며 법무부 장관을 상대로 낸 행정소송에서, 최근 원고 패소 판결했다.
특경가법 제14조는 5억원 이상 횡령·배임 등 범행을 저지른 이에 대해 취업을 제한토록 하고, 취업 제한기간을 '징역형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날부터 5년' '징역형 집행유예기간이 종료된 날부터 2년' '징역형 선고유예기간'으로 정하고 있다.
박 회장은 변제 능력을 적절하게 심사하지 않고 아들에게 회사 자금을 빌려준 혐의(특경가법상 배임)로 2018년 11월 대법원에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확정받았지만, 집행유예 기간인 이듬해 3월 금호석유화학 대표이사로 재선임됐다. 이후 박 회장은 법무부에 취업 승인을 신청했다가 거부되자, '집행유예 기간은 취업제한 기간에 포함되지 않는다'며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재판부는 그러나 "특경가법은 취업할 수 없는 시기를 '유죄판결이 확정된 때부터'로 정한다고 보는 게 타당하다"며 박 회장 측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실형 또는 집행유예 기간이 지난 뒤 취업제한이 시작된다고 보면 제도 취지나 입법 목적을 실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특경가법 해당 조항의 취업제한 기간을 실형의 경우 '실형 기간 + 5년', 집행유예의 경우 '집행유예 기간 + 2년'이라고 판단했다.
박삼구 회장의 행정소송에 대한 대법 확정판결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이 같은 해석을 따를 경우 지난달 '국정농단' 사건으로 징역 2년 6월의 실형이 확정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역시 취업제한 기간이 이미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법무부는 지난 15일 이 부회장 측에 취업제한 대상자임을 통보한 바 있다.
정준기 기자 joon@hankookilbo.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한국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AZ가 화이자보다 안전한데..." 백신의 정치화, 국민 불안만 키운다
- 10년 전 '대구 중학생 유서', 다시 주목받는 까닭은
- 텍사스주 1800만원 전기세 폭탄, 한국서도 벌어질까?
- "한국의 1987년처럼 민주화를" SNS서 퍼지는 미얀마 응원
- ‘박영선 캠프’ 합류한 정경두에... '정경두 없는' 국방위 시끌
- 국산도 수입산도 '가장 비싼' 고기 먹는 한국인
- 김태년 “문 대통령이 백신 접종 1호? 野 부끄럽고 한심”
- 드디어 모습 드러낸 현대차 '아이오닉5'
- '중범죄 의사면허 취소' 처음 아니다?… 누구 말이 맞을까
- 격앙된 의협회장 후보 "간호사에 백신접종 허용? 무식한 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