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집콕소비 폭발.. LG 영업익 89% 뛰며 재계 2위

홍석호 기자 입력 2021. 2. 24. 03:03 수정 2021. 2. 24. 09: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조5167억.. 현대차-SK 제쳐
신가전 중심 프리미엄시장 선전
원격수업덕에 디스플레이 약진.. 화학 수직계열화로 10%대 이익률
구광모發 선택과 집중으로 체질개선.. "코로나시대 수익률에 날개 달아줘"
이달 초 LG전자가 올레드 TV 화질을 홍보하기 위해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전광판에 상영한 영화‘라이프 인 어 데이‘의 한 장면. LG전자 제공
지난해 LG그룹의 상장계열사 영업이익이 10조 원을 넘겨 국내 기업 중 삼성에 이어 2위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재계 4위인 LG가 영업이익으로는 재계 2, 3위인 현대자동차그룹과 SK그룹을 넘어선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발 언택트(비대면) 경제 확산이 주요 그룹 영업이익 등락에 희비를 갈랐다. 또 LG가 수년간 그룹 체질 개선에 나서 온 점도 수익률에 날개를 달아줬다는 분석이다.

23일 본보가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와 함께 국내 주요 그룹 상장사의 지난해 연결기준 실적을 분석한 결과 LG그룹 상장사 12곳의 영업이익이 총 10조5167억 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 영업이익(5조5642억 원)보다 89.0% 오른 것이다. 매출(172조247억 원)이 전년 대비 4.2% 오른 것과 비교해 영업이익이 더 큰 폭으로 급등한 셈이다.

이에 따라 LG그룹은 영업이익 기준 국내 기업 부동의 1위인 삼성(상장계열사 16곳, 43조3863억 원) 바로 다음 자리를 차지하게 됐다. 2019년에 각각 10조 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올렸던 현대차그룹과 SK그룹의 지난해 상장계열사 영업이익이 각각 8조, 4조 원대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상장계열사 매출로 봐도 현대차그룹은 2019년 272조720억 원에서 지난해 264조9878억 원으로, SK그룹은 224조1728억 원에서 193조8199억 원으로 줄었다. 각각 자동차 시장 침체와 정유업계 불황의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반면 LG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비대면 문화 확산의 덕을 톡톡히 봤다.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 생활가전, 리모델링 등에 대한 수요가 커진 것이다. LG전자 생활가전(H&A) 사업본부가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고, LG하우시스 건축자재 부문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26.9% 늘었다. 생활가전의 원료로 쓰이는 고부가합성수지(ABS) 수요도 덩달아 늘며 ABS 점유율 글로벌 1위인 LG화학 석유화학 사업부문의 영업이익 증가를 견인했다.

또 재택근무와 원격수업 등이 늘며 정보기술(IT) 기기 수요가 커진 영향으로 LG디스플레이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과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수요가 대폭 늘었다. 그 결과 LG디스플레이는 2019년 1조3593억 원에 달했던 적자 규모를 지난해 291억 원까지 줄였다.

재계에서는 LG그룹의 눈에 띄는 실적 개선이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반짝 수혜’라기보다는 오랜 기간 쌓아온 기술과 체질 개선에 따른 효과라고 본다. LG그룹 상장사의 영업이익률이 2019년 3.4%에서 지난해 6.1%로 뛰었기 때문이다.

건조기, 스타일러 등 신(新)프리미엄 가전 시장을 이끈 생활가전이 대표적이다. 한때 ‘백색가전’으로 대표되는 가전 시장은 성장이 정체됐다고 여겨졌지만, LG전자는 2011년 스타일러 등을 선보이며 새로운 시장을 만들었다. 이로 인해 2017년 가전시장 세계 1위 미국 월풀을 영업이익으로 제친 뒤 매년 격차를 확대하고 있다.

포트폴리오의 다각화도 불확실한 경영 환경에서 빛을 발했다. 한두 가지 사업에 집중하는 경쟁사들과 달리 LG화학 석유화학 사업부문은 ABS, 폴리염화비닐(PVC) 고흡수성수지(SAP) 및 합성고무, 나프타분해설비(NCC) 및 폴리올레핀(PO) 등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양하다. 제품마다 다른 시황의 완충 작용을 해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 폭을 줄인 것이다. LG화학 관계자는 “석유제품의 다운스트림까지 수직계열화할 수 있는 사업에 기술과 생산능력을 집중해 10%대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LG생활건강도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고급화 덕을 봤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관광객이 줄어 화장품 시장이 타격을 입었지만 생활용품과 음료가 2019년 대비 63.0%, 26.2% 늘어난 영업이익을 올리며 실적을 견인했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