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학군 수요 마무리된 강남, 전세 발길 끊겨 호가도 '뚝'
박승희 기자 입력 2021. 02. 24. 06:05기사 도구 모음
학군 수혜 지역 전세 시장이 3월 개학을 앞두고도 잠잠하다.
심화된 전세난에 학군 수요자들이 기존보다 서둘러 이사를 마무리한 데다, 급등한 전셋값에 신규 수요자들이 진입을 망설이면서 시장은 얼어붙은 모양새다.
강남구 대치동과 함께 대표적인 인기 학군지로 꼽히는 도곡동에서도 전세 매물을 찾는 수요자들의 발길이 줄며 호가가 뚝 떨어졌다고 부동산 관계자들은 귀띔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지난해 전세난에 많은 학군 수요자들이 통상의 경우보다 서둘러 계약을 마쳤다고 전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비싼 가격에 신규 유입은 주춤..호가 대폭 내리기도
(서울=뉴스1) 박승희 기자 = 학군 수혜 지역 전세 시장이 3월 개학을 앞두고도 잠잠하다. 심화된 전세난에 학군 수요자들이 기존보다 서둘러 이사를 마무리한 데다, 급등한 전셋값에 신규 수요자들이 진입을 망설이면서 시장은 얼어붙은 모양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주요 학군과 학원가가 밀집해 대표 학군 수혜 지역으로 불리는 강남구·양천구의 거래량과 전셋값 상승 폭이 최근 둔화했다.
서울시 부동산 정보광장 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 1~2월 강남구에서 거래된 전세 매물은 811건으로 지난해 동기간(1861건) 대비 절반 이상 줄었다. 양천구도 올해 1~2월에는 562건 거래돼 지난해 1~2월 거래량(1362건)과 비교해 60%가량 감소했다.
최근 급격하게 상승했던 전셋값도 상승 폭이 둔화했다. 한국 부동산원의 2월3주차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강남구와 양천구의 전셋값 상승률은 0.05%, 0.09%로 2월 첫째 주와 비교해 각각 0.07%포인트(p), 0.02%p 하락했다.
강남구 대치동과 함께 대표적인 인기 학군지로 꼽히는 도곡동에서도 전세 매물을 찾는 수요자들의 발길이 줄며 호가가 뚝 떨어졌다고 부동산 관계자들은 귀띔했다.
일례로 당초 18억원대 호가로 시장에 나온 34평짜리 도곡 렉슬 전세 매물은 이달 중순까지 거래가 이뤄지지 않자 15억원대 중반까지 가격을 낮췄다.
불과 2개월 전인 지난해 12월, 같은 평수가 최고 18억원에 거래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지난해 전세난에 많은 학군 수요자들이 통상의 경우보다 서둘러 계약을 마쳤다고 전했다.
강남구 소재 A 공인중개소 대표는 "자녀 교육을 위해 전세를 찾는 사람들은 대부분 12월 전에 거래를 마쳤고, 요즘은 전세 손님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셋값이 2배 가까이 급등, 신규 수요자들이 섣불리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최근 거래 절벽의 이유로 꼽혔다.
다만 향후에도 전셋값 상승 폭 둔화가 이어질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반응이 나왔다.
여경희 부동산 114연구원은 "겨울철 비수기이기도 하고, 가격이 너무 많이 올라 수요자가 주춤하면서 전셋값 상승 폭이 둔화한 상황"이라며 "이사철을 맞아 거래가 늘면서 가격이 강세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seunghee@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뉴스1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1억 정자왕' 양준혁·'난소나이 20세' 박현선…'6개월 안에 임신 기대'
- 조국 '적어도 윤석열 유승민 곽상도는 文과 與에 감사해야…소원 들어주는데'
- '살림남2' 손숙 '내가 졸혼의 시조…남편 지금도 가출 중'
- 홍준표 '양아치 이재명, 꿈깨라…文디스하고도 살아 남을 것같냐, 천만에'
- 쇼트트랙 전 국대 김동성, 수면제 복용 병원행…생명엔 지장없어(종합)
- 함소원, 남편 진화와 불화설 극복 이어 시어머니 '마마'와도 행복 일상 공개
- '전참시' 수다쟁이가 된 비 '김태희도 말 많다고 지적'
- 7억 전신성형 데미 무어, 어떻게 달라졌나…
- '소림축구' 오맹달, 간암 별세…주성치→최자, 韓中 애도 물결(종합)
- '1호가' 조영남이 본 송창식 첫인상 '해괴망측, 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