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조달청·광복회 "일본인 명의 은닉 재산 끝까지 추적"
이승윤 입력 2021. 03. 01. 00:09기사 도구 모음
독립 유공자와 후손으로 구성된 광복회는 조달청과 함께 일본인 명의 재산 국유화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광복회는 지난달 26일 조달청과 관련 양해각서를 체결해 친일 재산 추적과정에서 귀속·은닉 재산으로 의심되는 토지의 증거 자료를 수집해 제공하고, 조달청은 조사를 통해 일본인 명의 재산 국유화 절차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음성 기사 옵션 조절 레이어
글자 크기 조절 레이어
독립 유공자와 후손으로 구성된 광복회는 조달청과 함께 일본인 명의 재산 국유화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광복회는 지난달 26일 조달청과 관련 양해각서를 체결해 친일 재산 추적과정에서 귀속·은닉 재산으로 의심되는 토지의 증거 자료를 수집해 제공하고, 조달청은 조사를 통해 일본인 명의 재산 국유화 절차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조달청은 일본인 명의 재산으로 의심되는 4만3천여 필지를 조사해 여의도 면적 1.5배에 해당하는 429만㎡, 공시지가로 천293억 원에 달하는 토지를 국유화했습니다.
광복회는 과거 친일재산조사위원회가 해체된 뒤 숨어 있는 친일 재산을 찾아내기 위해 전문팀을 구성해 지난해 520억 원 규모의 국가 귀속을 마쳤습니다.
김원웅 광복회장은 "일본인 은닉재산 국고 몰수는 나라의 정통성을 바로 세우는 일"이라고 강조했고, 김정우 조달청장은 "일본인 명의 재산을 끝까지 찾아내 국가 지적 주권을 반드시 회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승윤 [risungyoon@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YTN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전파력 낮추고 악화 막고"...백신, 주목해야 할 다른 효과
- 잇단 폐점에 희망퇴직까지...'유통 공룡' 롯데 또 구조조정
- '머리 따로 몸 따로' 전봉준 동상...친일 작가 논란에 철거
- 전 국가대표 김동성, 극단적 선택 시도...생명 지장 없어
- [자막뉴스] "자비란 없다" 기성용 기자회견 뒤...피해자 측이 전해온 말
- 타이거 우즈 사고 당시 가방에서...뒤늦게 드러난 사실
- "짜증 나는 아시안 두 명" 주문서에 인종차별 문구 적은 호주 식당
- 모래에 묻혀있던 3천400년전 이집트 '잃어버린 도시' 유적 공개
- 택배차 출입 막은 아파트, 주차장 혼잡 민원에 '이것'까지 막았다
- 사유리 "싱글맘, 불쌍하거나 창피한 것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