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코로나백신 접종 후 사망은 백신 부작용 아닐 가능성 높다"
계승현 입력 2021. 03. 03. 15:58 수정 2021. 03. 03. 17:04기사 도구 모음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은 자연적으로도 발생하고 매우 드물기 때문에 백신과의 인과관계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천대 예방의학과 정재훈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통해 2006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백신 접종으로 나타날 수 있는 '아나필락시스'나 '길랭-바레 증후군' 등의 자연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가천대 예방의학과 정재훈 교수팀 대한의학회지 게재 논문서 주장
(서울=연합뉴스) 계승현 기자 =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은 자연적으로도 발생하고 매우 드물기 때문에 백신과의 인과관계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천대 예방의학과 정재훈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통해 2006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백신 접종으로 나타날 수 있는 '아나필락시스'나 '길랭-바레 증후군' 등의 자연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2021년 한 해 동안 이 질환들이 발생할 빈도를 예측했다.
'접종 후 부작용'으로 가장 주목을 받은 급성 중증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는 2021년 한 달에 10만 명당 4.72건 자연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아나필락시스는 여름에 발생 건수가 가장 많아지는 등 계절성을 띄었다.
횡단성 척수염은 월별로 100만 명 당 1∼2건, 안면마비는 10만 명당 8건 이상 발생하는 추세다. 미주 신경성 실신은 한 달간 23.89건, 길랭-바레 증후군은 0.26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완신경염은 평균적으로 57.62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고, 이 질환도 특정 계절에 발생 건수가 증가했다.
이런 질환 발생 보고는 지난 15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연구팀은 의료진의 보고 능력 향상, 질환 진단 기술 발달, 대중의 인식 개선 등에 의한 것이라고 봤다.
정 교수는 페이스북에 "백신 이상반응으로 의심되는 사례 신고 건수가 이 예측범위 안이라면 이는 백신과 인과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그러면서 "코로나19 백신 우선 접종이 이뤄지는 요양병원과 요양원에서 일어나는 접종 후의 사망은 백신으로 인한 부작용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 최근호에 실렸다.
key@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2년간 북한서 살아보니…다른 어느 곳과도 비교 불가" | 연합뉴스
- '주차장 2칸' 벤츠 차주 "손대면 죽어"…누리꾼 공분 | 연합뉴스
- 영화 '집으로' 김을분 할머니 별세 | 연합뉴스
- 서로 존재도 모른채 미국으로 입양된 쌍둥이…36년만에 극적상봉 | 연합뉴스
- '왼쪽 다리가 코끼리' 인도네시아 여성, 수술비 모금 호소 | 연합뉴스
- 영화관서 1억2천만원 수표 발견…"주인 찾아요" | 연합뉴스
- [영상] 걸그룹 에이프릴 전·현 멤버 SNS서 '괴롭힘 논란' 공개 설전 | 연합뉴스
- 채용공고 믿었는데…과장·허위광고 '입사갑질' 빈번 | 연합뉴스
- '아이돌 사관학교' 한림예고 법인전환 못해 폐교 위기 | 연합뉴스
- 이하늘 친동생 45RPM 이현배 사망…사인 조사 중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