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달러 약세 전환에 2월 외환보유액 4475억달러로 '사상 최대'
고은빛 입력 2021. 03. 04. 06:01기사 도구 모음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하면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475억6000만달러로 한달 전보다 48억3000만달러 증가했다.
1월 말 외환보유액은 작년 12월말 대비 3억7000만 달러로 10개월 만에 감소했지만, 다시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달러화 약세 전환 영향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하면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475억6000만달러로 한달 전보다 48억3000만달러 증가했다. 1월 말 외환보유액은 작년 12월말 대비 3억7000만 달러로 10개월 만에 감소했지만, 다시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다.
지난달 강세를 보였던 달러화가 다시 약세로 돌아선 영향이다. 한국은행은 "외화자산 운용수익, 미 달러화 약세에 따른 기타통화 표시 외화자산의 미달러화 환산액 증가 등으로 외환보유액이 다시 늘었다"고 밝혔다.
자산별로 국채나 회사채 등 유가증권이 4096억3000만달러로 50.6% 증가했다. 은행에 두는 예치금은 2.5% 감소한 247억4000만달러였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교환성 통화 인출 권리인 'IMF 포지션'은 전달과 같은 48억1000만달러, IMF 특별인출권(SDR)은 0.2% 증가한 35억9000만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금은 전월과 같은 47억9000만달러였다. 시세 반영 없이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해서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1월 말 기준(4427억달러)으로 세계 9위다. 중국(3조2107억달러), 일본(1조3921억달러), 스위스(1조788억달러) 등이 1∼3위를 기록했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 한국경제 &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s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컴공과 졸업생 뽑아도…기업들 "1년은 다시 가르쳐야" 불만
- "1년 전에 나무 심던데…LH 직원일 줄은 꿈에도 몰랐다"
- 100세 넘은 실버개미까지 등장…"테슬라 사달라" 새벽 전화도
- "음료업계 TSMC"…조정장서 11% 오른 종목
- 비트코인 사려고 대기?…은행 요구불예금 한달새 30조 급증
- '달이 뜨는 강' 지수 학폭 의혹? "연기하려면 '학폭 가해자'로 불리길"
- 김동성 연인 심경글 게재…"제발 일어나자"
- "이나은 하차하라"…'모범택시' 향한 항의 폭주 [종합]
- 이영애 해명 "남편 정호영 군납업자 아냐" [공식입장]
- [영화 리뷰+] 함께라서 힘들지만 그래서 원더풀한 '미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