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월 외환보유액 4천475억달러..다시 역대 최대치
성서호 입력 2021. 03. 04. 06:02기사 도구 모음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2월 들어 다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4천475억6천만달러로, 한 달 전보다 48억3억천만달러 늘었다.
전체 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가증권은 2월 말 현재 4천96억3천만달러로, 한 달 사이 50억6천만달러 늘었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작년 1월 말 기준(4천427억달러)으로 세계 9위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2월 들어 다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4천475억6천만달러로, 한 달 전보다 48억3억천만달러 늘었다.
외환보유액은 작년 말까지 7개월 연속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다가 올해 1월 감소했으나 지난달에 다시 최대 기록을 다시 썼다.
2월 외화자산 운용수익이 많았던 데다 미 달러화 약세로 기타 통화 표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산액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 인덱스는 1월 말 90.46에서 2월 말 90.13으로 0.4% 내렸다.
전체 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가증권은 2월 말 현재 4천96억3천만달러로, 한 달 사이 50억6천만달러 늘었다.
은행에 두는 예치금은 1월 말 249억9천만달러에서 2월 말 247억4천만달러로 소폭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은 2천만달러 늘어난 35억9천만달러다. IMF에 대한 교환성 통화 인출 권리인 'IMF 포지션'은 48억1천만달러로 한 달 전과 변함없었다.
금의 경우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월과 같은 47억9천만달러였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작년 1월 말 기준(4천427억달러)으로 세계 9위다. 중국(3조2천107억달러), 일본(1조3천921억달러), 스위스(1조788억달러)가 나란히 1∼3위를 차지했다.
soh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제주서 이현배 부검 진행…"교통사고 후유 사망 가능성 없어" | 연합뉴스
- '음주운전 또 적발' 배우 박중훈 검찰 송치 | 연합뉴스
- "먹던 국물 그대로 육수통에" 식당업주 시인…영업정지·고발(종합) | 연합뉴스
- 이하늘 "동생 객사는 김창열 탓"…DJ DOC 갈등 노출에 파장 | 연합뉴스
- 고양이가 '마약 운반책'…파나마 감방 잠입하다 붙잡혀 | 연합뉴스
- "특수부대 선의의 경쟁 보며 현실 무기력함 떨쳐내길" | 연합뉴스
- [영상] 중국 항모 랴오닝함의 굴욕…"이번엔 일본 함정이 미행" | 연합뉴스
- "슈퍼리그 참가하면 대표팀서도 못 뛴다"…손흥민은 어떻게? | 연합뉴스
- 캄캄한 방에 갇힌 한 살배기들 문 열려 안간힘 쓰다 "으앙" | 연합뉴스
- '10년간 친딸 성폭행' 50대 구속기소…딸은 극단 선택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