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왕실이 썼던 명품 유리잔·장신구.. 원산지 비밀 풀렸다

손영옥 2021. 3. 17. 04: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경주박물관 '고대 유리와 신라'展
국립경주박물관은 4월 11일까지 여는 ‘오색영롱, 한국 고대 유리와 신라’전을 통해 신라를 비롯한 삼국시대 왕릉급 고분에서 나온 당시 초고가 수입품 유리식기와 유리구슬을 선보이고 있다.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국보·보물급 유리식기는 성분 분석 결과 수입한 지역이 다양한 것으로 확인됐다. 유리구슬은 나라마다 취향이 달랐다.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지중해보다 더 짙은 파란색 그릇, 파란 물결무늬를 세련되게 덧댄 유리잔, 점박이 무늬가 박힌 찻잔, 입구가 봉황머리처럼 날렵한 유리병….

지금 봐도 화려하고 고급스럽다. 전시장에 진열된 유리 식기는 놀랍게도 5, 6세기 신라시대 왕릉급 무덤에서 나온 것이다. 1500∼1600년 전 신라의 왕과 왕족이 최고의 권력과 신분을 과시하듯 사용했던 최고 사치품이었다. 신라 왕족 여인들은 짙은 청색 유리구슬을 목이나 귀에 주렁주렁 달거나 옷에 꿰매 장식하기도 했다. 신라 시대 낙타에 실려 멀리 실크로드를 타고 건너온 저 유리그릇들은 어디에서 생산된 것일까. 그 비밀이 풀렸다.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은 그간의 연구 성과를 모아 ‘오색영롱, 한국 고대 유리와 신라’전을 하고 있다. 고대 한국에서 사용한 유리를 주제로 한 전시로는 최초이자 최대 규모다. 철기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유리제품 1만 8000점을 볼 수 있다.

하이라이트는 신라 왕릉 급 무덤에서 나온 국보·보물 유리그릇이다. 4∼6세기 신라 권역의 대형 고분에서는 유리그릇이 23점이나 출토됐다. 경주의 황남대총(10점), 서봉총(3점), 천마총(3점), 금관총 (2점), 금령총(2점), 경주 안계리 4호분(1점), 합천의 옥천 고분(1점)등이다. 이 같은 발굴 규모는 동양에서도 최대다. 전시에선 그 가운데 국보·보물 등 15점이 한자리에 모여 모처럼 눈 호강을 했다.

유리는 모래와 불의 조화로 탄생한 신비로운 물질이다. 딱딱한 고체인 줄 알았던 유리는 불에 녹아 액체 상태가 되고 색깔과 모양, 크기 등 무한 변신이 가능하다. 4500년 전 이집트 혹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처음엔 거푸집으로 생산했지만, 기원전 1세기 경 ‘대롱 불기’라는 혁신적 기법이 개발됨에 따라 대량생산이 가능해졌다. 덕분에 준보석류의 사치품이었던 유리는 일상 용기로 만들어져 ‘로만 글래스’라는 이름으로 로마제국 시절 지중해 연안에서 유럽과 아시아 전역으로 퍼졌다. 마침내 중국을 건너 한반도로도 흘러왔던 것이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이번에 일본 아즈텍 회사와 공동으로 형광X선 분석기를 통해 성분 분석을 했다. 유리는 석영 등을 녹여서 제작할 때 끓는점을 낮추기 위해 융제(용융점을 낮추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를 쓰기 때문에 성분으로 생산지를 유추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양한 지역에서 유리 식기가 건너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왼쪽 위에서부터 시계반대방향으로 시리아·팔레스타인 산(황남대총 북분), 이집트 산(천마총), 중앙아시아 산(황남대총 남분).


이를테면 황남대총 북분과 천마총, 경주 안계리 출토 유리잔은 로마의 속국이었던 이집트에서 건너온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에 황남대총 남분에서 나온 투명한 유리잔과 봉황 모양의 유리병은 중앙아시아에서 것으로 추정됐다. 또 시리아-팔레스타인 지역, 코카서스 산맥 이남 지역 등 다양한 곳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황은순 연구관은 “신라가 여러 지역과 국제적인 교류를 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신라가 얼마나 역동적이고 개방적이었는지 알 수 있다”라고 말했다.

여인들이 치장했던 유리구슬도 쏟아져 나왔다. 유리구슬은 3세기 삼한시대 이래 한반도에서 사용된 이래, 화려한 색채 덕분에 보석처럼 사랑받았다. 중국의 역사서 위지 동이전에서는 그 시절을 이렇게 전한다. “구슬을 보배로 삼아 장식했고 금·은·비단은 진귀하게 여기지 않았다.” 실제 삼한∼삼국시대 무덤에서 발견된 유리구슬만 해도 수십만 점이다.

왼쪽 위에서부터 시계반대방향으로 신라(황남대총) 출토, 백제(오산 수청동)출토, 가야(김해 양동리) 출토.


흥미로운 건 나라마다 취향이 달랐다는 점이다. 백제권역에서는 오색영롱하게 다양한 색상을 즐겼지만 신라에서는 유독 블루톤이 사랑받았다. 가야의 여인들은 작은 유리구슬과 큼지막한 수정을 함께 엮어 멋을 냈다. 반면에 고구려에서는 구슬이 애용되지 않았다.

한반도에서 유리를 수입만 한 건 아니었다. 직접 제작한 흔적들이 나온다. 거푸집을 사용해 유리구슬을 제작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인 토기 거푸집이 삼한 시기 이후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 여러 곳에서 발견됐다. 이번 전시에선 그런 거푸집과 유리를 녹이던 도가니도 나와 당시를 상상하게 만들었다. 그렇다면 한반도에서는 진화된 대롱 불기 기법으로 유리그릇을 제작하지는 못했을까.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학계에 보고되지 않고 있다.

경주=손영옥 문화전문기자 yosoh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