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진화론의 진화를 다시 생각하다

유윤종 문화전문기자 2021. 3. 20.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찰스 다윈이 1859년 '종(種)의 기원'을 발표하면서 진화론을 '창시'했다고 우리는 알아왔다.

더 공부해본 사람이라면 같은 시대의 앨프리드 월리스가 다윈에게 자신의 연구를 전했으며, 진화론은 두 사람 협업의 산물이라는 사실도 안다.

'종의 기원'이 출간될 즈음 지식인들에게 진화는 이미 널리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심지어 찰스 다윈의 조부인 이래즈머스 다윈도 진화에 관한 중요한 통찰을 남겼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진화의 오리진/존 그리빈·메리 그리빈 지음·권루시안 옮김/352쪽·1만4000원·진선북스
각각의 시대에 생존해 있던 종(種)들은 그 시대까지의 환경에 적응한 최선의 결과를 보여준다. 문명 초기부터 인간은 생명의 이런 특징에 주목해 왔다. Unsplash 제공
찰스 다윈이 1859년 ‘종(種)의 기원’을 발표하면서 진화론을 ‘창시’했다고 우리는 알아왔다. 더 공부해본 사람이라면 같은 시대의 앨프리드 월리스가 다윈에게 자신의 연구를 전했으며, 진화론은 두 사람 협업의 산물이라는 사실도 안다.

그러나 이 책의 부부 저자가 전하는 사실은 여기서 더 나아간다. ‘종의 기원’이 출간될 즈음 지식인들에게 진화는 이미 널리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다윈의 공로는 고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와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 사슬 속의 수많은 고리 중 하나일 뿐’이라는 게 저자들의 설명이다. ‘진화 이론의 진화사(史)’가 이 책을 이루는 줄기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사상가 엠페도클레스는 ‘생명의 원초적 단계에선 기괴한 부위들이 조합을 이뤘지만 살아가기 적합한 형태만 살아남아 번식했다’고 생각했다. 이보다 전인 기원전 6세기의 아낙시만드로스는 ‘바다에서 물고기가 먼저 등장했고, 인간은 이 물고기 상태에서 발달했다’고 설명했다.

기원전 3세기에 에피쿠로스가 한 말은 한층 현대적으로 들린다. 그는 “최초의 생물이 ‘원자’의 결합을 통해 형성됐고 그중 살아남기에 유리한 것만 살아남았다”고 봤다. 18세기 프랑스 사상가 디드로는 ‘동물계는 각 요소가 아무렇게나 흩어져 있었고, 결합이 가능해져 결합하게 되었으며, 이런 전개가 일어날 때마다 수백만 년이 걸렸고, 지금도 새로운 전개가 일어나는 게 아닐까’라는 생각을 밝혔다.

찰스 다윈
심지어 찰스 다윈의 조부인 이래즈머스 다윈도 진화에 관한 중요한 통찰을 남겼다. 그는 ‘온혈동물은 단 하나의 생명 가닥으로부터 생겨났으며, 지속적으로 개량해나가는 성질과 개량된 점을 다음 세대로 영원히 물려주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고 썼다. ‘끝없는 파도 밑에서 유기생명체가 태어나… 지느러미와 발과 날개 달린 숨 쉬는 계통이 나온다.’ 다윈은 ‘종의 기원’을 발표한 뒤에야 조부가 쓴 이 글들을 접했다.

책 후반부엔 유전자를 이루는 RNA(리보핵산)와 DNA(디옥시리보핵산)에 이름을 붙인 레빈, 이것들의 구조를 밝힌 왓슨과 크릭을 비롯한 20세기 유전학 대가들의 활약을 소개한다. 책 전체에 걸쳐 150명이 넘는 과학자와 사상가의 이름이 등장한다.

최재천 교수(다윈포럼 대표)의 추천사 말마따나 ‘겨울밤 모닥불 곁에 모여 앉아 듣는 듯한 조곤조곤 진화 이야기’라 할 만하다. 진화 전쟁의 장(場)인 여러 지질시대의 지식도 방대한 차원으로 펼쳐진다.

마지막 장에서 저자들은 진화와 유전학의 이야기는 지금도 적혀 나가고 있다고 말한다. 유전자의 활동을 제어하는 세포 메커니즘은 이제야 밝혀지기 시작한 상태다.

이 순간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변이를 거듭하며 우리를 위협한다. 바이러스 자체의 관점에서는 ‘진화’다. 진화와 유전 메커니즘의 완전한 규명은 미래에도 거듭 발생할 팬데믹의 불안에서 인류를 구해줄 핵심적인 열쇠가 될 것이다.

유윤종 문화전문기자 gustav@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