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두 원조는 실크로드 입구 우루무치"

전수진 입력 2021. 3. 22. 00:05 수정 2021. 3. 22. 06:2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중·일 만두 삼국지 『만두』 박정배
"한국인 먹는 만두는 만두 아니다"
원래는 발효 거쳐야, 안한 건 교자
교자 어원도 한반도, 일본에 전래
한·중·일의 같은듯 다른 만두문화를 분석한 책 『만두』를 출간한 박정배 음식평론가. 만두 찜통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우리가 먹는 만두는 우리가 아는 만두가 아니다. 무슨 말인가 싶겠지만, 음식 평론가 겸 작가 박정배(57)의 설명을 들으면 이해가 된다. 한국인 밥상에 오르는 만두는 밀가루 반죽에 각종 소를 넣은 먹거리인데, 원래 만두, 정확히 말하자면 만터우(饅頭)는 밀가루 반죽을 만든 뒤 발효라는 추가 과정을 거치기 때문. 한국인이 즐기는 만두는 음식 문화사에선 교자(餃子)로 분류된다. 일본에서 먹는 교자라고 생각하고 일본이 원조냐며 발끈할 일이 아니다. 박 작가가 한·중·일 3국을 누비며 연구한 바에 따르면 일본의 ‘교자’라는 이름의 뿌리는 한반도다. 수년간 발품을 팔아 쓴 『만두』(사진)에 그는 관련 내용이 푸짐하게 담아냈다.

『만두- 한중일 만두와 교자의 문화사』

부제가 ‘한·중·일 만두·교자 문화사’라고 붙인 이 책은 시중에 넘쳐나는 가볍고 말초적인 인상비평 음식 관련 서적과는 결이 다르다. 박 작가가 각국 도서관의 먼지를 훑어내며 고(古) 문헌을 파고들고, 2018년엔 중국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의 우루무치까지 찾아가며 발로 꾹꾹 눌러 쓴 책이다.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그렸다면 박정배는 대만두지도를 쓴 셈이다.

이번 책은 총 387쪽에 달하는 대작인데 이 중 18쪽이 참고문헌으로 빼곡하다. 박 작가의 음식 문화사 탐구는 정평이 나 있다. 중앙일보에 연재 중인 ‘시사 음식’ 시리즈도 호평이다. 그런 박 작가가 우루무치까지 간 사연은 뭘까.

답은 실크로드에 있다. 서양에서 밀이 들어온 입구가 실크로드, 그중에서도 우루무치 지역이었다는 게 박 작가의 설명이다. 그가 당나라 시대의 실제 교자 실물을 본 것도 우루무치의 한 박물관에서였다. 그는 “식량이 부족했던 서양에선 밀이 환영받았지만, 쌀농사로 먹거리 걱정이 비교적 덜했던 중국에선 밀은 특별한 음식이었다”며 “제분 등 가공 과정이 까다로운 데다가 고기 등 소를 넣어 먹어야 하기에 대표적 별식이었다”고 설명했다.

우루무치 박물관에 전시된 당나라 시대 교자.

만두가 중국 음식 문화사에서 존재감을 확실히 한 사건은 제갈량과 연관되어 있다고 한다. 제갈량이 남만 오랑캐를 정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풍랑을 만났는데 ‘49명의 사람을 죽여 그 머리를 물의 신에게 바쳐야 한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러나 제갈량은 이를 거절하고, 대신 꾀를 냈다. 머리 모양으로 만두를 빚어 제사를 올린 것. 그러자 풍랑이 가라앉았고 그는 무사히 도강했다는 이야기다. 박 작가는 “이때부터 만두가 만두(饅頭), 즉 ‘머리 두’자를 썼다는 설이 있지만, 이는 지어낸 이야기”라며 “그러나 만두 문화사에서 이 이야기가 갖는 함의는 크다”고 말했다.

박 작가의 발걸음은 일본으로도 향했다. 일본식 라면, 즉 라멘 집에 가면 꼭 나오는 교자를 연구하기 위해서다. 교자의 한자를 일본어 식으로 읽으면 원래 ‘교코’가 되어야 하는데, 왜 ‘교자’인지가 궁금했다. 실제로 일본어 사전을 찾으면 교자에 대해선 외래어식 표기가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박 작가는 “일본인 학자들이 나름 설을 여럿 제기했지만 연구 결과, 만주 지역의 조선족, 즉 한반도인들이 ‘교자’라고 부르는 말을 받아들였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박 작가의 주장대로라면 일본인이 사랑하는 음식 교자의 뿌리는 한국에 있는 셈이다.

그는 “만두처럼 한국과 중국·일본의 음식문화를 흥미롭게 담아낸 음식은 드물다”며 “뿌리는 같지만 저마다 다르게 발전해온 세 나라의 만두 문화를 통해 각국의 음식문화는 물론 경제교류 문화사를 탐구하는 마음으로 썼다”고 했다.

전수진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