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임 市長들이 할 일, 첫째도 둘째도 도시경쟁력 제고다

2021. 4. 9. 00: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수도 서울과 제2 도시 부산을 이끌 새 시장이 선출돼 어제 집무를 시작했다.

그런 점에서 두 신임 시장의 최우선 임무는 서울과 부산의 도시경쟁력 제고에 매진하는 것이어야 한다.

지금 서울은 국제도시로서의 위상 추락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AT커니 '글로벌 도시보고서'에서 2015년 11위였던 서울의 경쟁력은 2019년 13위, 지난해에는 17위로 떨어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도 서울과 제2 도시 부산을 이끌 새 시장이 선출돼 어제 집무를 시작했다. 이번 4·7 보궐선거는 독주해온 정권의 역량과 자질, 도덕성에 대한 심판 성격이 강했다. 전임자의 불미스런 행위에 대한 유권자의 단죄란 측면도 있다. 하지만 경위와 성격이 어떻든 간에 본질은 광역자치단체장을 뽑는 지방선거다.

신임 오세훈 서울시장과 박형준 부산시장이 집중해야 할 일은 명확하다. 무엇보다 무분별한 포퓰리즘 경쟁을 일삼으며 갈등·대립을 부추겨온 퇴행의 ‘여의도 정치’와 거리를 둘 필요가 있다. 툭하면 구태 정치의 대리전과 구설에 휘말리는 사이, 서울은 글로벌 선도도시 경쟁 대열에서 완전히 뒤처질 지경이다. 해양진출 거점으로 동남권 경제를 이끌어야 할 부산 역시 ‘쇠락하는 도시’의 전형으로 전락하고 있다. 서울·부산 공히 도시 발전모델을 외면하고 선진 자치행정을 등한시해온 결과다.

그런 점에서 두 신임 시장의 최우선 임무는 서울과 부산의 도시경쟁력 제고에 매진하는 것이어야 한다. 오 시장은 서울의 경쟁상대를 도쿄 베이징 상하이, 나아가 뉴욕 런던으로 잡고 국제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데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각종 기반시설부터 행정서비스까지 정비할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번 선거에서 최대 쟁점이었던 집값 등 주거문제도 도시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인이란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전체 인구의 절반이 사는 수도권 3개 지자체의 맏형이란 자세로 서울을 리모델링해 나가야 할 것이다.

지금 서울은 국제도시로서의 위상 추락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중국화되는 홍콩을 대체할 ‘금융허브 후보지’에 대한 국제분석·전망에서 서울은 거론조차 되지 않는 실정이다. AT커니 ‘글로벌 도시보고서’에서 2015년 11위였던 서울의 경쟁력은 2019년 13위, 지난해에는 17위로 떨어졌다. 국제금융센터지수(GFCI) 평가에서는 30위 밖으로 밀려났다. 부산 역시 초저출산국인 한국에서도 출산율이 최저이고, 계속되는 인구감소에다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도 밑에서 2등이다. 해양·관광자원을 갖고도 국제도시는커녕 점점 쇠락해가는 위기에 처해 있다.

자치행정에서도 도시경쟁력을 좌우할 분야는 널려 있다. 도심 공동화 대처, 서민·중산층 주거시설 확충, 광역 교통과 시민안전 강화 등이 모두 시장 지휘 아래 있다. 촌락공동체적 시(市) 경영에서 탈피해 서울·부산이 가진 장점을 극대화하느냐가 관건이다. 양대 도시의 경쟁력이 곧 대한민국 경쟁력이다.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