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집 사지 마라" 文정부 경고 무시한 사람들, 이득 봤다..서울아파트 1.5억원 '쑥'
김봉주 입력 2021. 04. 09. 02:00기사 도구 모음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여권 주요 인사들이 투기 억제와 집값 안정을 강조하며 "집사지 말라"고 말렸지만 실제 이러한 경고를 무시한 사람들의 자산은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7일 KB부동산이 조사한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소형(전용 60㎡ 이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7억6789만 원이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패닉바잉 2030 "영끌 매수가 옳았다" 안도
[아시아경제 김봉주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여권 주요 인사들이 투기 억제와 집값 안정을 강조하며 "집사지 말라"고 말렸지만 실제 이러한 경고를 무시한 사람들의 자산은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7일 KB부동산이 조사한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소형(전용 60㎡ 이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7억6789만 원이었다. 지난해 3월 평균 6억2597만 원 대비 1년 만에 1억4192만 원(22.7%) 치솟았다.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채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 말을 듣지 않고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해 집을 산 사람만 큰 이득을 본 셈이다.
그런데도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2월 "지금은 무리해서 집을 살 때가 아니다"라는 주장을 펼쳤다.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도 이달 1일 "주택시장이 2월 중순부터 상당히 안정세를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선 서울·경기 등 수요가 많은 지역은 여전히 아파트값이 뛰고 있다며 집값 안정을 체감하지 못하겠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발표한 '서울 아파트값 상승실태 분석발표'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이후 서울 아파트값은 무려 52% 폭등했다.
김현미 당시 국토부 장관도 지난해 8월 국회 국토위 전체회의에서 젊은 층이 영끌 '패닉바잉'(공포·공황에 의한 매수)에 나선 것에 대해 "안타깝다"면서 집값 하락을 예상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 추이를 살펴보니 영끌족이 옳았던 셈이 됐다. 지난해 '패닉바잉'에 나섰던 이들은 실제 상당한 자산 증식을 누렸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KB부동산의 월간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작년 7월 9억533만원에서 지난달 10억9993만원으로 8개월 사이 1억4960만원(15.7%) 올랐다.
서울의 한 부동산 중개소 대표는 "작년 7월 아파트를 매수한 2030세대가 굉장히 많았다"면서 "당시 아파트값 하락 가능성에 불안해하면서도 아파트를 매수한 젊은 층들이 지금은 '영끌 매수가 옳았다'며 안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봉주 기자 patriotbo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마트서 산 상추 봉지 속 '독사' 꿈틀…고향으로 돌려보낸 호주 부부
- "나무 위에 괴생명체가…" 주민들 떨게한 '공포의 크루아상'
- [영상] '엄청난 속도'…피라미드 모양 UFO, 실제로 찍혔다
- '친딸 10여년간 성폭행' 50대 친부 구속기소…딸은 신고 후 극단 선택
- 격랑의 반도체 패권다툼…삼성, 최소 50조 투자결정 칼뽑나
- "하정우 2000만원, 하지원 500만원"…미술시장 호황에 연예인들 잇단 개인전
- 전기차 보급 확대에 불붙은 'K배터리' 유치 경쟁
- "나로 인해 자기는 행복하지"…'사랑'으로 포장된 '가스라이팅', 이대로 괜찮나
- "격차 줄이겠다" 했는데…멀어지는 삼성의 꿈
- "오세훈, 이것만 해결해도 칭송 받을 것"…'저상버스 도입' 강조한 진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