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日, 오염수 안전성 검증서 韓·中 배제 IAEA 협력만 강조
김청중 입력 2021. 04. 11. 19:05기사 도구 모음
한·중 정부가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 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출 결정 움직임에 부정적 입장을 나타내는 등 동북아의 긴장이 고조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한·중의 반발에도 해양 방출 오염수의 안전성 검증을 위한 주변국과의 구체적 협의 방법과 절차에 대해 별다른 계획을 제시하지 않고 있어 계속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을 결정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을 때도 "주변국과 협의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日정부, 한·중 반발에도 입장 고수
구체적 협의 방법·절차 제시 안해
韓 "국제사회와 공조 긴밀한 논의"
식품 검역강화 등 대책 최종 점검
中 "주변국과 협의 후 신중 결정을"
수입 규제조치 조기해제 어려울 듯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와의 공조하에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문제에 대응한다는 입장을 꾸준히 밝혀 왔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8일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의 오염수 해양 방출 결정이 임박한 데 대해 “정부는 이 문제와 관련해서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 국제기구와 일본 정부를 포함한 모든 이해 당사국들과의 긴밀한 논의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국무조정실 산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대응 관계부처 태스크포스(TF)는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대응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일본 정부 결정이 나오면 내놓을 관련 대책을 최종 점검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로 식품 검역 강화와 관계된 대책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정부도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에 대해 주변국과 충분히 협의해야 한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에선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 사고가 난 원자로 시설에 빗물과 지하수 등이 유입돼 하루 평균 140t의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다. 다핵종제거설비(ALPS)에서 1차 정화 처리돼 부지 내 탱크 1000여개에 저장 중인 오염수(일본 표현 처리수)는 내년 가을∼2023년 3월쯤 가득 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경제산업성 산하 자원에너지청 관계자 역시 해당 질문에 “(오염수를 검증하기 위한) 과학적 논의는 매우 중요하다”면서도 주변국과의 논의가 아닌 IAEA에 대한 정보 제공만을 강조했다.
도쿄·베이징=김청중·이귀전 특파원, 홍주형 기자 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