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만1000원 통신비, 알뜰폰 환승해 3만원 넘게 아꼈다

오상헌 기자 입력 2021. 4. 17. 08: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획] '갓성비' 알뜰폰 1000만 시대 (下)

[편집자주] 대형 이동통신회사의 그늘에서 고전하던 알뜰폰이 부활하고 있다. 2010년 첫 도입 후 10년 남짓 만에 가입자 1000만 시대가 목전이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비대면 가입 수요 증가와 '가성비'를 중시하는 젊은 세대의 유입으로 자급제폰과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를 결합한 '꿀조합'이 인기다. 가계통신비를 줄이려는 정부의 알뜰폰 활성화 정책으로 최대 장점인 가격 경쟁력도 더 부각됐다. 완성차 업체 등 데이터 전용 사물인터넷(IoT) 사업자도 알뜰폰에 속속 가세하고 있다. 일명 '효도폰'에서 MZ세대의 '대세폰'으로 자리잡고 있는 알뜰폰의 인기 비결과 향후 과제를 짚어 본다.

알뜰폰에 TV·인터넷 묶었더니…가족통신비 40% 아꼈다

# 모바일(휴대폰) 2회선과 TV, 인터넷을 결합해 매월 약 15만원의 가족통신비를 지출하는 직장인 A씨. 오는 9월 이동통신사와 맺은 약정이 끝나면 알뜰폰으로 갈아 탈 생각이다. 인터넷, TV와 결합이 가능한 알뜰폰으로 바꾸면 가족통신비를 지금보다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어서다. A씨는 "이통사 멤버십과 나름 쏠쏠했던 포인트 혜택을 포기해야 해 아쉽긴 하지만 통신비가 확 줄어드는데 바꾸지 않을 이유가 없다"며 "곧 중저가 5G 요금제가 알뜰폰에서도 나온다는 뉴스를 보고 마음을 굳혔다"고 말했다.

알뜰폰 이용 고객의 상당수가 선택 배경으로 첫 손가락을 꼽는 게 바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다. 최근 알뜰폰 주요 고객층으로 떠오른 MZ세대나 2030 젊은 세대가 특히 가성비를 중시한다. 실리를 추구하고 합리적 소비 성향이 강해 제 값을 주고 자급제폰을 사더라도 전체 비용을 따져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에 가입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컨슈머인사이트가 지난 6일 공개한 '이동통신 기획조사' 결과를 봐도 '저렴한 요금'(65%)을 알뜰폰 핵심구매요소(복수응답가능)로 꼽은 소비자들이 압도적이었다. 응답자들이 두 번째 이유로 든 '나에게 맞는 요금제'(40%)도 가성비와 연관된 항목이다.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알뜰폰 이용자의 월평균 요금은 2만4700원으로 이동통신 3사 평균인 4만5900의 54%에 불과하다. 통신업계에선 비슷한 수준의 음성·데이터 제공량을 기준으로 하면 알뜰폰이 이통사 요금보다 최소 30% 정도 저렴하다고 본다.

결합상품으로 가면 알뜰폰의 가격 경쟁력이 더 확연하다. 예컨대 KT스카이라이프에서 △월 3만3000원짜리 '모두 충분 11GB'(음성·문자 무제한·데이터 소진 후 매일 2GB 추가제공) 알뜰폰 요금제와 △월 2만2000원인 '스카이인터넷'(100Mbps), △월 1만2100원짜리 'sky A 11'을 TPS(3종 결합) 방식으로 묶어 3년 약정 가입하면 따로 단품에 각각 가입할 때보다 1만7600원 싼 4만95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이통사의 경우 유사 조건의 결합상품 가격을 조사해 봤더니 7만1000~8만1000원으로 뛰었다. 알뜰폰 결합상품이 이통사에 비해 40% 가까이 싼 셈이다.

통신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히는 알뜰폰의 가격 경쟁력은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로 더 부각될 전망이다. 알뜰폰 사업자 10곳은 이달부터 최소 월 4950원부터 최대 월 4만4000원에 1.5∼30GB 5G 데이터를 제공하는 독자 5G 요금제를 순차적으로 출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5G를 도매제공 의무서비스로 지정하면서 알뜰폰 자체 5G 요금제 설계가 가능해진 덕분이다. 저렴한 5G 요금제 출시로 알뜰폰 5G 가입자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월말 현재 전체 알뜰폰 가입자(606만5922명) 중 5G 가입자는 7036명에 그친다.

회선 141만개…현대차는 왜 알뜰폰을 개통했을까

알뜰폰 시장이 가입자 900만 회선을 넘어 1000만 고지를 눈앞에 둘 정도로 커진 데에는 가성비 통신 서비스를 찾아 알뜰폰으로 갈아탄 소비자들 외에도 완성차 업체가 적잖은 기여를 했다.

자동차 회사들이 알뜰폰 통신 요금제를 판다는 얘기는 아니다. 차량을 원격제어하거나 안전보안을 강화하고 적절히 관리하려면 통신 네트워크 관제가 필수적이다. 자동차가 스마트폰처럼 통신망으로 주변 사물과 연결되는 시대다.

이를 위해 완성차들은 이동통신회사(MNO)에서 망을 빌려 알뜰폰 사업자(가상이동통신망·MVNO)로 등록하고 차량 내에서 실시간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당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알뜰폰 가입자로 잡히는 식이다. 전기차업체 테슬라 한국법인이 기간통신사업자 면허를 획득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MVNO망을 사물 간 통신에 활용하는 서비스를 사물지능통신(M2M)이라고 한다. 커넥티드카 외에 웨어러블기기, 산업기기 관제 등 각종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등이 M2M에 포함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통신서비스 통계 현황을 보면, 지난 2월 말 기준 전체 알뜰폰 927만571회선 중 완성차 등의 M2M은 270만6807회선으로 비중이 29.1%에 이른다. 지난해 9월 기아가 MVNO 사업자로 변경 등록하고 현대차 등 완성차가 대거 알뜰폰 통계에 포함되면서 알뜰폰 가입자가 크게 늘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영식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M2M 전용 사업자별 가입 회선수는 △현대자동차(141만4663개) △벤츠코리아(23만5060개) △기아(17만6755개) △르노삼성(2만8282개) △테슬라(1만5626개) 등의 순이다.

알뜰폰 시장은 '가성비' 통신 서비스 수요 증가와 함께 IoT 서비스 확산으로 지금보다 훨씬 더 커질 전망이다. 초연결·초저지연을 무기로 하는 5G 통신 서비스가 완전히 자리잡으면 커넥티드카를 포함해 M2M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 가능성이 크다.

과기정통부도 음성에서 데이터 중심으로 바뀌는 통신 시장 변화에 맞춰 알뜰폰 기반 IoT 데이터 전용 사업자 육성을 추진 중이다. 데이터 선구매제와 다량구매할인을 확대해 망 대가를 최대 20% 낮춰 준 게 단적인 예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완성차뿐만 아니라 에너지 모니터링, 웨어러블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동통신 재판매를 통한 융합서비스가 확산될 것"이라며 "다양한 사업모델 창출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식당 불쇼 구경하던 여성, 얼굴 전체에 '2도 화상'박세혁, 경기 중 야구공 안면 강타…눈·광대뼈 CT 결과는?"냄새 맡고 싶어서…" 여자 신발 20켤레 훔친 일본 남성남친과 아버지 살해한 美 16세 소녀…시신 토막내려 시도"먼저 때려 때렸고 집에 시신, 이상해 버렸다"…자칭 목사의 변
오상헌 기자 bborira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