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 "교원 95%, 교원·공무원 재산등록 반대"
[경향신문]
교원 약 95%가 교원 및 공무원 재산등록 의무화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은 지난 13일~15일 전국 유·초·중·고·대학교원 6626명을 대상으로 ‘교원·공무원 재산등록 관련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6306명(95.2%)이 반대했다고 18일 밝혔다. 찬성은 3.6%에 불과했다. 반대하는 이유(복수응답 2개)로는 ‘전체 교원과 공무원을 잠재적 범죄자로 매도, 허탈감과 사기 저하’(65.4%)를 가장 많이 꼽았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 책임을 교원·공무원에게 전가’(60.9%), 헌법정신에 반하는 과잉규제·과잉입법(26.1%) 등의 응답이 뒤따랐다.
또한 교원 대다수는 ‘재산 등록이 곧 공개’라고 생각했다. 앞서 인사혁신처가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재산을 등록하는 것이지 공개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지만 공감을 얻지 못했다. 응답 교원의 88.3%가 ‘등록 과정에서 학교 및 교육당국 등록 관리자, 배우자나 직계존·비속이 알게되므로 사실상 공개나 다름없다’고 답했다.
교원들은 정부가 해야 할 일(복수응답 2개)로 ‘재산등록 방침 철회’(87.3%)를 요구했으며, ‘차명 투기 적발 강화 등 실효성 있는 근절안 마련’(73.5%), ‘부동산 투기 공직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32.4%) 또한 원했다.
이밖에도 서술식 답변에서는 “평범한 교원들이나 공무원이 무슨 재주로 고급정보를 획득해 투기를 할 수 있을까” “정부 정책 실패를 덮으려고 하는 과잉규제” “부동산 개발과 관련이 없는 교원 및 공무원에게 부동산정책 실패 책임을 돌리는 행위”라는 의견이 나왔다.
하윤수 교총 회장은 “전체 교원·공무원과 그 가족의 재산등록은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과잉입법이자 사기 저하만 초래하는 졸속행정”이라며 “정부·여당은 더 이상 교원들의 의견을 무시하지 말고 재산등록 추진을 즉각 철회하라”고 밝혔다.
김서영 기자 westzer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동훈, 김의겸 제기 ‘청담동 술자리 의혹’ 손배소 2년8개월만에 일부 승소
- [속보]김건희 특검, 국민의힘 당사 압수수색···‘건진법사 게이트’ 관련
- 도로 건너다 차량 4대에 치여 숨진 50대···퇴근시간대, 아무 조처 없었다
- “요즘 핫한 김건희 목걸이” 문구 달고 6만원대에···온라인서 모조품 판매 활개
- 교육 최교진·여가 원민경···이 대통령, 장관급 6명 내정
- 수도권에 ‘1시간 150㎜ 물폭탄’…인명 피해·주택 침수·철도 운행 중단 등
- 6년간 피해온 수사망, ‘뒷배’ 남편 사라지자 김건희 구속
- [단독]국정기획위, 전작권 전환 “일체형과 병렬형 중 검토 필요”
- “승진 시켜줄게” 부하 직원 성추행한 정부 기관 팀장 ‘실형’
- 조경태·김예지는 했는데···내란 특검 참고인 조사 요청에 국힘 “야당 말살” 반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