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서 확인한 '조용한 학살 '..20대 여성 자살 시도 34% 늘었다

임재우 2021. 5. 3. 14:1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동근 의원실, 2020년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현황
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시대, 위기에 내몰린 20대 여성이 사회에서 조용히 설 자리를 잃어갔다. ‘조용한 학살’이라 일컬었다. 일자리에서 밀려났고, 정신건강은 취약해졌다. 스스로 목숨을 끊는 20대 여성이 빠르게 늘었다.  ‘조용한 학살’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수치가 처음으로 나왔다. 지난해 응급실에 실려온 전체 자살시도자 5명 가운데 1명이 20대 여성이었다. 증가세는 가팔랐다. 20대 여성 자살시도자는 전년 대비 33.5%나 늘었다. 20대 남성 자살시도자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코로나19가 최근 몇 년간 지속되던 청년세대 정신건강 위기를 증폭시키고 있다.

1020 여성·20대 남성이 자살시도자 수 증가 이끌어

<한겨레>는 신동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인천 서구을)을 통해 보건복지부가 작성한 ‘2020년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현황’ 자료를 받아 분석했다. 지난해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에 참여한 응급의료기관 66곳에 실려온 20대 여성 자살시도자는 4607명이었다. 전체 자살시도자 2만2572명(여성 1만4148명, 남성 8424명) 가운데 20.4%가 20대 여성인 셈이다. 남녀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비율이다. 

이들의 증가세는 무서울 정도다. 전체 자살시도자가 1년 사이 4.7%(2만1545명→2만2572명) 증가할 때, 20대 여성은 무려 33.5%(3449명→4607명) 증가했다. 최근 5년간 증가세도 가장 가팔랐다. 2016년까지만 해도 전체 자살시도자 중 20대 여성 비율은 9.8%였다. 40대 여성(11.8%), 30대 여성(10.8%)에 이어 세 번째 수준이었다. 하지만 이듬해부터는 남녀 모든 연령대를 앞지르기 시작했다. 2017년 12%→2018년 13.8%→2019년 16%→2020년 20.4%까지 증가했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7년부터 20대 여성 정신건강에 위험신호가 켜진 것으로 볼 수 있다.

20대 여성 자살시도자

10대 여성이 전체 자살시도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빠르게 늘었다. 2016년 조사에서는 전체의 4.3%에 그쳤는데, 2020년에는 그 비율이 9.6%로 두배 넘게 늘었다. 2020년 10대 여성 자살시도자(2174명)는 20대 여성(4607명), 30대 여성(2184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다.

20대 남성 자살시도자 증가세도 두드러졌다. 2019년에 견줘 자살시도가 늘어난 남성 연령대는 20대가 유일하다. 1497명에서 1788명으로 전년 대비 19%가량 늘었다. 20대 남성 자살시도자 증가율은 20대 여성 다음으로 높았다.

우울증·공황장애 가파르게 늘어…정신건강 ‘적신호’

청년들의 정신건강 적신호를 보여주는 통계는 이뿐만이 아니다. 우울증·공황장애 등 정신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청년들이 최근 몇 년 사이 빠르게 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6~20년 기분장애 질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보면, 우울증을 포함한 기분장애로 진료를 받은 20대 여성은 2016년 4만3749명에서 지난해 10만6752명으로 144%(6만3003명) 늘었다. 10대 여성 증가율(102.4%)이 두 번째로 높았고, 20대 남성 증가율(83.2%)이 그 뒤를 이었다. 1020 여성과 20대 남성이 증가세를 견인하는 자살시도자 수 통계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준다. 

20대 여성 자살시도자

공황장애도 최근 3년간 전연령대를 통틀어 20대 청년이 가장 많이 늘었다. 신동근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확보한 ‘2018~20년 공황장애 진료 인원 현황’을 보면, 지난해 공황장애로 진료를 받은 20대 여성은 5만265명으로 2018년에 비해 1만3024명 늘었다. 전체 공황장애 환자가 68만9650명(2018년)에서 73만5100명(2020년)으로 6.5%가량 늘었는데, 20대 여성은 34.9%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20대 남성 공황장애 환자도 21.4% 늘어, 20대 여성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문제는 사회적 요인에 따른 우울증의 만성화”

청년들, 특히 20대 여성의 정신건강이 급속도로 악화하고 있다는 소식은 ‘뉴스’가 아니다. 통계청의 2019년 사망원인통계를 보면, 20대 여성 자살률은 전년 대비 25.5%가 늘었다. 2020년 사망원인통계는 9월에 발표될 예정이다. 2020년 상반기 20대 여성 자살률이 전년 대비 43% 급증했다는 사실이 지난해 말 공개된 바 있다. 

저성장 시대 속 짙어진 청년세대의 우울이 코로나19를 통과하며 증폭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주로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20대 여성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으로 직업 안정성이 떨어지면서 다른 연령대보다 더 강한 정신적 압박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올해 초 나온 통계청 고용시장 관련 통계들은 이런 분석을 뒷받침한다. 1월 고용동향을 보면, 20대 고용률(53.9%)은 전년 동월 대비 4.2%포인트 떨어졌다. 전 연령대 통틀어 가장 큰 폭의 감소다. 1월 기준으로 200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였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보면, 전년 1월 대비 음식·숙박업과 도·소매업 취업자 감소 인원 58만5천명 가운데 20대가 16만8천명(28.7%)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았다. 성별로는 여성이 33만4천명(57.1%)으로 절반이 넘었다.

문제는 코로나19에서 벗어난 뒤에도 상황이 나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 10년 이상 청년 여성을 여럿 진료해온 안주연 마인드맨션의원 원장은 “우울증이 처음으로 발병한 경우 가족 등 주변의 지지와 적절한 치료를 거치면 2년 내에도 완치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20대 여성의 경우 개인은 열심히 치료를 받더라도 4∼5년 넘게 병원을 찾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 20대 여성의 우울증이 만성화하는 경향이 일선 의료현장에서 감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안주연 원장은 환자의 적극적인 치료 의지에도 불구하고 우울증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 상황을 두고 생물학적·심리적 원인 외에 사회적인 요인 또한 작용했을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기했다. 안 원장은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 여성혐오 범죄와 성범죄 등이 꾸준히 늘고, 20대 여성이 느끼는 두려움을 상쇄할 만큼 사회 및 제도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지는 이뤄지지 않다 보니 정신과적 치료만으로 우울과 불안이 다 완화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개인의 의지만으로는 사라지지 않는 사회적 스트레스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20대 여성의 스트레스와 우울 회복 기간이 장기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임재우 기자 abbado@hani.co.kr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자살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 전화하면 24시간 전문가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