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구조된 유실·유기 동물 13만 마리..21% 안락사

박영주 2021. 5. 17. 14: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구조 및 보호된 유실·유기동물이 13만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동물보호센터는 280곳이었으며 구조·보호 조치된 유실·유기 동물은 전년보다 3.9% 감소한 13만401마리였다.

구조된 유실·유기동물은 분양 29.6%, 자연사 25.1%, 안락사 20.8%, 소유주 인도 11.4%, 보호 중 10.4% 순으로 처리됐다.

유실·유기 동물 구조·보호 비용을 포함한 운영비용은 267억원으로 전년보다 15.1%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보호와 복지관리 실태에 관한 조사
분양 29.6%·자연사 25.1%·안락사 20.8% 순
반려동물 관련 업종 8개..동물미용업 가장↑
[춘천=뉴시스]김동현 기자 = 15일 오전 강원 춘천시 동물보호센터에 보호중인 유기견들이 사람이 오자 짖고있는 모습이다. 2021.03.15. dhyeon@newsis.com


[세종=뉴시스] 박영주 기자 = 지난해 구조 및 보호된 유실·유기동물이 13만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마리 중 한 마리는 안락사 됐다.

농림축산검역본부(검역본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0년 반려동물 보호와 복지관리 실태에 관한 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지난해 신규 등록된 반려견은 23만5637마리였으며 등록 반려견의 총 숫자는 232만1701마리로 조사됐다.

반려동물 등록제는 2014년 전국적으로 시행됐으며 등록 마릿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7년 117만5000마리, 2018년 130만4000마리, 2019년 209만2000마리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동물등록번호는 무선식별장치(내장형·외장형), 등록인식표 형태로 발급받을 수 있는데 반려견 소유자의 58.9%가 내장형 무선식별장치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견을 등록할 수 있는 대행 기관은 총 3690곳이 지정돼 있으며 동물병원이 92.7%, 동물보호센터가 4.6%였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동물보호센터는 280곳이었으며 구조·보호 조치된 유실·유기 동물은 전년보다 3.9% 감소한 13만401마리였다. 유형별로는 개(73.1%)가 가장 많았고 고양이(25.7%), 기타(1.2%) 순이었다.

구조된 유실·유기동물은 분양 29.6%, 자연사 25.1%, 안락사 20.8%, 소유주 인도 11.4%, 보호 중 10.4% 순으로 처리됐다.

유실·유기 동물 구조·보호 비용을 포함한 운영비용은 267억원으로 전년보다 15.1% 증가했다.

[세종=뉴시스] 연도별 동물보호센터 유실·유기동물 주요 보호형태 현황(사진=농림축산검역본부)


길고양이 중성화 지원 사업을 통해 길고양이 7만3632마리를 중성화했으며 106억9000만원 비용이 소요됐다. 중성화 지원사업 대상 길고양이는 전년보다 13.2% 증가했으며 비용은 17.7% 늘었다.

반려동물 관련 영업은 8개 업종, 총 1만9285곳이고 종사자는 약 2만4691명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동물미용업 37.7%, 동물위탁관리업 23.0%, 동물판매업 21.5% 순이었다. 종사자는 동물미용업이 8741명으로 가장 비중이 컸다.

지자체 동물보호감시원은 413명이며 983건의 위반행위를 적발했다. 주요 위반 행위는 반려동물 소유자의 목줄·인식표 미착용 등 위반(62.0%), 반려견 미등록(15.2%), 반려동물 관련 미등록 영업(7.7%) 등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는 "동물등록 대상 동물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와 국가지원, 제도개선을 통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하고 유실·유기 동물 예방을 위한 제도의 지속적 개선 및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ogogirl@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