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은 CBDC 구축하면 더 빠르고 안전한 결제환경 온다"
정윤주 입력 2021. 05. 21. 17:01기사 도구 모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발급하는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와 대체 불가 토큰(NFT·Non Fungible Token)이 거래사기 등 범죄를 완화하고 지하경제를 양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이정화 LG CNS 블록체인사업추진단장은 21일 한국블록체인학회가 주최한 '2021 춘계 한국 블록체인 학술대회'에서 발표를 통해 "한국은행에서 CBDC 시스템이 구축되면 더 빠르고 안전하고 더 저렴하게 국내외 지불 가능한 결제 환경으로 변화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발급하는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와 대체 불가 토큰(NFT·Non Fungible Token)이 거래사기 등 범죄를 완화하고 지하경제를 양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이정화 LG CNS 블록체인사업추진단장은 21일 한국블록체인학회가 주최한 '2021 춘계 한국 블록체인 학술대회'에서 발표를 통해 "한국은행에서 CBDC 시스템이 구축되면 더 빠르고 안전하고 더 저렴하게 국내외 지불 가능한 결제 환경으로 변화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CBDC란 국가의 중앙은행이 전자적 형태로 발행하는 화폐로 중앙은행이 인정하기 때문에 비트코인 같은 가상화폐와는 차이가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 결제가 늘면서 CBDC에 관한 논의가 더욱 확대됐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은행이 CBDC 모의 시스템 구축을 준비하면서 가상환경에서의 CBDC 제조, 발행, 유통, 환수, 폐기 등 생애주기별 처리 업무 등을 실험할 계획이다.
한은은 연내 파일럿 시스템을 구축하고 내년께 가상환경 테스트를 할 방침이다.
이 단장은 CBDC가 화폐 유통과 관리비를 줄이고 지하 경제를 양성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은에서 CBDC 시스템이 구축되면 목적에 맞는 통화량 수급 조절로 물가 안정화를 도모해 안정된 통화·재정 정책을 꾀할 수 있고, 연간 제조 비용 870억원 이상이 드는 종이현금을 대체하며 CBDC 환전과 무역대금 지급 결제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창학 블록오디세이 대표이사도 NFT를 두고 여러 분야에서 발생하는 불법복제나 거래사기 등의 범죄를 잠재울 수 있다고 관측했다.
연 대표는 NFT 시장은 게임이나 예술 외에도 다양한 활용 사례가 등장할 것이므로 NFT 시장 규모가 계속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NFT와 메타버스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분산 응용 프로그램 '디앱'(Dapp) 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지면서 NFT가 현실과 비현실을 잇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는 전망도 나왔다.
김기영 모핑아이 대표는 "메타버스 안에서의 경제활동은 NFT를 통해 현실 경제 활동으로 확장된다"며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창작물에 실존성을 부여하고 공유와 거래, 이를 통한 소통을 촉진한다"고 말했다.
이날 열린 블록체인 학술대회는 박종대 ETRI 책임연구원의 블록체인 강연과 전문가들의 주제발표, 패널 토론 등으로 이뤄졌다.
jungl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공효진, 가수 케빈오와 10월 비공개 결혼…열애 인정 6개월만
- 3번째 마약 에이미 "부스럼 만들면 국내생활 못할까봐 잘못선택"
- 88세 美할머니, 실버타운 내 연못서 악어 공격에 사망
- 폭우가 몰고온 또다른 재앙…쓰레기섬 생긴 대청호
- 한강서 실종된 20대 숨진 채 발견…"범죄 혐의점 없어"
- 美미성년 성폭행범, 100년형 선고 직전 독극물 '꿀꺽'
- "22일부터 청년월세 지원 신청하세요"…1년간 매달 최대 20만원
- '1회 20억원' 희귀질환약 졸겐스마, 국내 첫 환자 투여 완료
- 12년째 짜장면값 2천원 받는 중식집 주인
- 달리던 택시서 뛰어내려 여대생 사망…운전자 2명 송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