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신경망으로 반도체 소자 성능 시험 10배 빨리"

김봉수 2021. 5. 24. 1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공신경망을 통해 반도체 소자 성능 시험을 보다 빨리 저비용으로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홍성민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AI ) 대학원 최종현 교수와 함께 인공신경망을 통해 반도체 소자 시뮬레이션을 훨씬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GIST 홍성민 교수팀, 반도체 소자 시간 비용 절약 가능해져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인공신경망을 통해 반도체 소자 성능 시험을 보다 빨리 저비용으로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홍성민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AI ) 대학원 최종현 교수와 함께 인공신경망을 통해 반도체 소자 시뮬레이션을 훨씬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반도체 소자 시뮬레이션(Semiconductor device simulation)이란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해 예측하는 기술로, 반도체 소자 개발에 필요한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연구팀은 반도체 소자 시뮬레이션 수행 시간 대부분이 불필요한 중간 과정의 답을 계산하는데 소요되는 것에 착안해 학습된 인공신경망으로 우수한 어림짐작 답(Approximate solution)을 생성해 시뮬레이션 수행 시간을 10배 가까이 단축하는데 성공했다.

최근 세계적으로 반도체 품귀 현상이 나타나며 반도체 제조 기술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반도체 소자 기술은 특히 짧은 시간 내에 개발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반도체 소자 시뮬레이션에 거는 기대가 크다. 반도체 소자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통상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 자체가 기술 개발의 병목(Bottleneck)이 된다는 것이다. 또 기존의 병렬 컴퓨팅 등 기법은 수많은 소자 디자인 후보들을 다루기 위해 막대한 컴퓨팅 자원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사용자가 알고 싶어 하는 전압 조건에 대한 답만을 바로 구해내는 방식으로 시뮬레이션 수행 시간을 단축했다. 반도체 소자 시뮬레이션은 비선형(Nonlinear) 방정식들을 푸는 것이므로 정답에 가까운 우수한 어림짐작 답을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알고 싶어 하는 전압 조건(대략 0.7 V 근방)에 대한 우수한 어림짐작 답을 미리 알기 어려워서 불가피하게 0 V부터 시작하여 차츰 전압을 증가시키게 된다.

연구팀은 원하는 전압 조건에 대한 답을 바로 구해내기 위해 인공신경망을 도입했다. 이 인공신경망은 기존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지도 학습하며 원하는 상황에 해당하는 반도체 소자 내부의 전위 분포를 생성해 준다. 전위 분포(Potential profile)란 전위는 단위 전하가 가지게 되는 전기적 위치 에너지이다.

반도체 소자에는 전압이 인가되므로 소자 내부의 위치마다 전위값이 다르다. 이 전위 분포에 따라 반도체 소자 내부에서의 전자의 움직임이 영향을 받게 되므로, 전위 분포는 반도체 소자 시뮬레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물리량이다. 제안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 방식과의 속도 비교를 수행하였다. 기존 방식의 시뮬레이션 조절 파라미터들을 최적의 값으로 설정한 결과에 비해서도 8.4배 이상의 속도 향상을 얻었다. 시뮬레이션 조절 파라미터들의 최적 값은 시뮬레이션을 직접 수행하기 전에는 알 수가 없으므로 실제 적용 시 예상되는 속도 향상은 10배 이상이 된다.

홍성민 교수는 “인공신경망을 활용하여 반도체 소자 시뮬레이션의 수행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최초로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면서 “후속 연구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소자 개발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반도체 소자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IEEE Transactions on Electron Devices’에 이달 7일 온라인 게재됐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