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41% 1위 '이준석 돌풍'.. 고민 깊어진 나경원·주호영
곽은산 입력 2021. 05. 29. 06:03 수정 2021. 05. 29. 14:54기사 도구 모음
국민의힘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6·11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준석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미풍에 그칠 것이란 당초 예상과 달리 이준석 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28일 발표된 예비경선에서 굵직한 경쟁자들을 여유 있게 따돌리며 선두를 차지했다.
유창선 정치평론가는 "당원들도 민심에선 이 전 최고위원이 완전히 앞서 있다는 것을 알게 됐으니 (대선 승리를 위해 본경선에서) '우리도 이준석을 찍어야 한다'는 고민을 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국민의힘 예비경선서 41% 얻어
제1야당 첫 30대 당대표 가능성
구태정치 벗고 혁신 원하는 여론
'36세 청년 정치인'에 투영된 결과
나경원·주호영과 당대표 3강 구도
중진 후보들 합종연횡 최대변수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당 대표 후보 8명 중 5명을 가려내는 예비경선 결과를 발표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41%의 지지를 얻으며 1위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2위는 나경원 전 의원(29%), 3위는 주호영 전 원내대표(15%)다. 홍문표(5%)·조경태(4%) 의원도 본경선에 합류했다. 3선 윤영석 의원과 초선 김웅·김은혜 의원은 본선에 오르지 못했다. 이번 예비경선은 지난 26~27일 당원과 일반국민 각각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준석 현상은 4·7 재보궐선거를 기점으로 물꼬를 튼 ‘정당 세대교체론’에서 시작됐다는 분석이다.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중도·개혁 노선을 걸으면서 당내 초선들을 중심으로 ‘영남 꼰대당’ 이미지를 탈피하자는 목소리가 분출했다. 이에 호응해 각종 방송 출연 및 SNS를 통해 유권자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으로 인지도를 높인 이 전 최고위원에게 민심이 몰렸다는 것이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국민들이 보수정당의 뿌리부터 바꿔야 한다는, 이대로는 내년 대선에서 정권창출이 어렵다는 메시지를 이준석을 통해 던지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 전 최고위원과 중진인 나 전 의원, 주 전 원내대표가 3강 구도를 형성하면서 본경선 최대 관전포인트는 ‘당심의 향방’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당원투표와 여론조사를 50%씩 반영한 예비경선과 달리 본경선에선 당원투표가 70% 비중을 차지한다. ‘0선’인 이 전 최고위원의 최대 약점은 이들 4·5선 중진 주자들에 비해 당내 기반세력이 약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민심과 당심의 괴리도 점점 좁혀지는 양상이다.
이날 당원투표에서 이 전 최고위원과 나 전 의원의 차이는 1%포인트에 불과했다. 당원투표와 일반국민조사에서 이 전 최고위원은 각각 31%와 51%를, 나 전 의원은 32%와 26%를 득표했다. 유창선 정치평론가는 “당원들도 민심에선 이 전 최고위원이 완전히 앞서 있다는 것을 알게 됐으니 (대선 승리를 위해 본경선에서) ‘우리도 이준석을 찍어야 한다’는 고민을 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중진 후보들의 합종연횡 여부에 따라 선거전 막판 판세가 뒤집힐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나 전 의원과 주 전 원내대표가 전략적 단일화로 양강 구도를 형성할 경우 당심이 중진 후보에게 모일 수 있다.
곽은산 기자 silve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